정치 대통령실

文 "대통령 욕해서 기분 풀리면 그것도 좋은일"...잠시 웃음 터졌다

文대통령 개신교 지도자들 간담회

가짜뉴스 단속 의지 강조하면서도

"정부 대통령은 욕해도 표현의 자유"

종교자유 대면예배 놓고는 마찰도

문재인 대통령이 27일 청와대 본관에서 열린 한국 개신교회 지도자 초청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연합뉴스문재인 대통령이 27일 청와대 본관에서 열린 한국 개신교회 지도자 초청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27일 개신교회 지도자들과 만나 ‘가짜뉴스’ 단속 의지를 밝히면서도 “정부를 비난하거나 대통령을 모욕하는 정도는 표현의 범주로 허용해도 된다”고 말했다. 또 “대통령 욕해서 기분이 풀리면 그것도 좋은 일”이라고 말해 참석자들이 웃음을 터트렸다.

문 대통령은 교회 지도자들에게 정부의 ‘비대면 예배’ 행정명령을 철저히 준수해줄 것을 거듭 호소했으나, 교회 지도자들이 대면 예배의 불가피성을 밝히면서 간담회장에 긴장감이 돌기도 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11시부터 청와대 본관에서 교회 지도자들을 초청해 간담회를 진행했다. 간담회는 예정 시간을 넘겨 2시간 가까이 진행되고 문 대통령과 교회 지도자들이 다양한 의견을 주고 받았다.

문 대통령은 “예배가 마음의 평화를 줄 수는 있겠지만 바이러스로부터 지켜주지는 못한다”며 방역수칙 준수를 강조했다. 또 “몰상식이 한국 교회 전체의 신망을 해치고 있다”면서 일부 교회의 일탈행위를 작심 비판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27일 청와대 본관에서 열린 한국 개신교회 지도자 초청 간담회에 참석하며 인사를 하고 있다./연합뉴스문재인 대통령이 27일 청와대 본관에서 열린 한국 개신교회 지도자 초청 간담회에 참석하며 인사를 하고 있다./연합뉴스


문 대통령은 마무리 발언을 통해 “예배하는 행위는 최대한 국가가 보호해야 하지만, 불가피한 경우에는 규제할 수 있도록 감염병예방법상 제도화되어 있다”면서 “그런 객관적 상황만큼은 교회 지도자분들께서 인정하셔야 한다”고 호소했다. 아울러 “옥석을 가리지 않고 일률적으로 조치 내리는 부분에 대한 안타까움은 이해하지만, 그 부분은 받아들여 달라”고 당부했다.


문 대통령과 교회 지도자들은 이날 ‘가짜뉴스’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눴다. 일부 교회 지도자들이 교회를 향한 맹목적인 가짜뉴스를 ‘엄정 대응’해달라는 요청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 대통령은 이에 대해 “가짜뉴스는 저희도 단호한 대응을 할 것이다”고 밝히면서도 ‘정부와 대통령은 욕해도 된다’ 는 취지로 말해 간담회장에 잠시 웃음이 퍼지기도 했다.

관련기사



교회 지도자들은 이날 문 대통령의 발언에 일부 공감하면서도 종교의 자유와 대면 예배의 불가피성을 강조했다. 간담회에는 김태영 한국교회총연합 공동대표회장을 비롯해 16명의 교회 지도자가 참석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27일 청와대 본관에서 열린 한국 개신교회 지도자 초청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연합뉴스문재인 대통령이 27일 청와대 본관에서 열린 한국 개신교회 지도자 초청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연합뉴스


김 회장은 “교회 예배자 중에서 감염자가 많이 나오게 돼 참 죄송하게 생각한다”면서도 “정부가 교회나 사찰·성당 같은 종교단체를 영업장이나 사업장 취급을 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꼬집었다. 이어 “코로나19가 한두 달 정도로 끝나지 않을 것으로 볼 때 대책 없이 비대면·온라인 예배를 지속할 수 없다고 하는 것이 오늘날 교회의 현실”이라고 덧붙였다.

김 회장은 특히 지난 24일 문 대통령이 ‘국민의 안전’을 위해 종교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다고 밝힌 것과 관련해 “목숨과 바꿀 수 없는 가치”라면서 “종교의 자유를 너무 쉽게 공권력으로 제한할 수 있고, 중단을 명령할 수 있다는 뜻으로 들려서 크게 놀랐다”고 말했다.

한편 문 대통령은 이날 간담회가 끝난 뒤 교회 지도자들에게는 21대 국회 개원연설에서 착용했던 넥타이와 똑같은 제품을 선물로 전달했다고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이 서면 브리핑을 통해 밝혔다. 강 대변인은 “넥타이는 이번 간담회를 위해 사전에 특별히 제작됐다”면서 “코로나로 인한 국가 위기를 통합과 화합의 정신으로 극복하고자 하는 마음을 담았다”고 전했다.


윤홍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