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시그널 FOCUS] '차입' 롯데-'상환' 이마트...상반된 재무전략, 누가 웃을까

상반기 6,000억원 차입 늘린 롯데쇼핑

이마트는 자산 매각해 7,200억원 갚아




상반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대형마트 업황이 악화한 가운데 롯데쇼핑(023530)이마트(139480)의 서로 다른 재무전략이 눈길을 끌고 있다. 오프라인 매장을 찾는 발걸음이 뜸해지면서 주력사업의 현금창출력이 크게 떨어진 반면 온라인 채널 전환에 따른 자금소요로 유동성 확보가 시급해지는 등 영업 환경이 급변한 영향이다.

롯데쇼핑은 올해 공격적으로 순차입금을 늘려가며 현금을 확보하고 있다. 지난 4월 3,500억원어치 공모 회사채를 발행한데 이어 지난달 500억원 규모 사모 회사채와 2,000억원어치 장기 기업어음(CP)을 통해 대규모 운영자금을 조달했다. 영업환경과 금융시장이 악화할 것을 대비해 여러 통로로 현금조달원을 다변화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회사의 2·4분기 총매출액은 연결 기준 10조6,984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1조8,673억원) 대비 9% 감소했다. 약 86억원 규모의 점포 구조조정 충당금을 설정하면서 영업이익은 2,968억원에서 535억원으로 99% 쪼그라들었다. 당기순익은 1,990억원 적자 전환했다.

공격적으로 현금 조달 규모를 늘리면서 재무부담도 높아졌다. 리스부채를 제외한 롯데쇼핑의 순차입금은 7조8,000억원으로 반년새 1조5,000억원이나 늘었다. 롯데쇼핑은 하반기부터 대규모 구조조정과 자산 매각 등으로 재무안정성을 유지할 계획이다. 신규투자를 축소하는 등 현금유출에도 고삐를 조일 전망이다.



롯데쇼핑과 달리 이마트는 올해 시장 자금 조달을 중단한 상태다. 지난해 자본확충 목적으로 4,000억원의 상각형조건부자본증권(신종자본증권)을 발행한 것이 마지막이다. 만기가 돌아오는 사채들은 보유 현금으로 상환하고 있다. 이달 28일에도 1,000억원어치 회사채를 현금으로 갚았다. 회사가 올해 순상환한 차입금 규모는 약 7,200억원에 이른다.


대신 자산 매각과 재무적투자자(FI) 유치 등을 통해 유동성을 확보하고 있다. 이마트는 2017년부터 코스트코 부지 등을 다수 매각했고 지난해에는 오프라인 매장 13곳에을 매각 후 재임차(세일즈 앤 리스백) 하는 방식으로 유동화해 약 1조원 규모의 현금을 손에 쥐었다. 신세계(004170)몰과 흡수합병하면서 재무적투자자(FI)로부터 7,000억원의 자금도 유치했다. 올해도 마곡 스타필드 부지와 장충동 부지 등 보유 부동산 자산을 매각하면서 약 9,000억원을 조달했다.

관련기사



선제적인 현금 확보에 힘입어 재무안정성 지표는 지난해 말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 중이다. 이마트는 2·4분기 연결기준 474억원의 영업손실을 냈으나 당기순익은 3,145억원 흑자 전환했다. 상반기 부츠, 삐에로쇼핑 등 전문점 매각 대금과 부동산 자산 매각 자금이 들어오면서 약 3,300억원의 재무활동 순현금유입을 기록한 덕분이다. 총차입금은 3조4,536억원으로 지난해 말 3조8,170억원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중장기 성장계획에 따른 대규모 투자도 이어가고 있다. 기존 오프라인 매장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점포 리뉴얼을 추진하고 있으며 창고형 매장인 트레이더스도 안성, 부산 등 지역에 신규 출점할 계획이다. 주력 사업과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새로운 먹거리 발굴에도 관심이 많다. 이마트는 상반기 배달 전문업체 부릉, 무인점포 솔루션 개발업체 인터마인즈 등에 투자를 검토한데 이어 최근 사물인터넷(IoT)를 활용한 스마트팜 기업 ‘엔씽’에 지분투자를 단행했다.

이같은 재무지표 변동은 하반기 기업들의 신용등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국내 신용평가사들은 롯데쇼핑과 이마트에게 각각 AA등급의 신용도를 부여하고 있다. 이마트는 올해 상반기 대형마트 실적 부진을 이유로 AA+등급을 반납했다. AA등급이던 롯데쇼핑은 등급 조정이 이뤄지진 않았으나 하향 조정 가능성이 크다는 의미인 ‘부정적’ 전망으로 강등됐다. 신용평가업계의 한 관계자는 “유통산업 실적 저하에도 불구하고 경쟁 강도와 투자부담 확대로 신용도 하향압력이 커진 상황”이라며 “각 사 별로 기존점 수익성 회복 추이와 성장률 등을 고려해 등급 조정이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다.


김민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