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직장인 도시락 싸오고 지하철 한산…식당선 "손님 반토막" 한숨

['코로나 재확산' 비상 ]

■'거리두기 2.5단계' 평일 첫날

재택근무 등에 대중교통 여유

출근한 中企는 잘못될까 '눈치'

"대기줄 없고 단독 룸 예약도 0"

광화문상권 점심시간은 정적만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사회적 거리두기가 강화된 31일 점심시간에 서울 종로구 청진동 디타원 식당가가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김태영기자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사회적 거리두기가 강화된 31일 점심시간에 서울 종로구 청진동 디타원 식당가가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김태영기자




수도권 방역조치 강화로 학원·독서실 등의 집합금지명령이 발동된 31일 서울 강남구 대치동 학원 밀집가가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날 0시부터 오는 9월6일 자정까지 시행되는 이번 조치는 300인 미만 학원 및 독서실·스터디카페 등에 적용된다./오승현기자수도권 방역조치 강화로 학원·독서실 등의 집합금지명령이 발동된 31일 서울 강남구 대치동 학원 밀집가가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날 0시부터 오는 9월6일 자정까지 시행되는 이번 조치는 300인 미만 학원 및 독서실·스터디카페 등에 적용된다./오승현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을 막으려는 수도권의 강력한 방역조치가 시행된 31일 곳곳에서 과거와 다른 풍경이 벌어졌다.

‘일상의 포기’에 방점을 찍은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가 시행된 첫 평일인 이날 상당수 직장인이 재택근무에 돌입하며 출근길 대중교통은 한산한 모습을 보였다. 점심시간에 직장인들이 자주 찾는 식당가도 눈에 띄게 한산했다. 회사 사정상 재택근무가 여의치 않은 중소·중견기업에서는 불만의 목소리가 쏟아졌고 재택근무를 둘러싼 기업 내 갈등도 일부에서 불거졌다.


이날 많은 시민이 피부로 느낄 수 있었던 가장 큰 변화는 대중교통이다. 지역사회의 감염이 심각해지면서 대중교통 이용에 대한 시민들의 불안도 높아졌기 때문이다. 이날 아침 대중교통을 이용한 출근길은 비교적 한산했다. 서울 지하철 2호선을 타고 거주지인 구로디지털단지역에서 직장이 있는 아현역까지 출근하는 이모(28)씨는 오랜만에 편안하게 앉아 출근했다. 오전9시까지 회사에 도착해야 하는 이씨는 “평소에는 자리에 앉는다는 것은 상상할 수 없었고 손잡이 잡기도 어려웠는데 오늘은 앉아서 왔다”며 “재택근무를 하는 사람들이 이전보다 많이 는 것 같다”고 말했다.

매일 버스로 동작구 흑석동에서 영등포구 여의도까지 출근한다는 최모(33)씨는 “버스 이용객이 평소보다 약간 준 것 같다”면서 “하지만 자차로 이동하는 사람이 많은지 길이 뻥뻥 뚫렸다는 느낌은 받지 못했다”고 말했다. 도시락을 따로 싸 온 최씨는 “일반 식당이든 구내식당이든 여러 사람이 모이는 곳은 신경이 쓰여서 도시락을 만들어왔다”며 “버스의 야간운행도 감축된다고 해서 출근보다 퇴근길이 더 걱정”이라고 털어놓았다. 반면 자신의 차량으로 출근하는 정모(38)씨는 통행량이 다소 늘었다고 느꼈다. 오전10시까지 출근하는 정씨는 “평소에 항상 다니는 길이지만 확실히 신호대기 횟수도 늘고 10~20분 정도 더 걸렸다”고 말했다.


◇일터마다 ‘재택’ 온도 차 여전=코로나19에 따른 일상의 멈춤은 일터에 따라서도 크게 차이가 났다. ‘전사적 대응’을 주문하며 일률적으로 재택근무를 주문한 대기업이 있는가 하면 극단적 조치인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가 나오지 않는 한 재택근무는 어렵다는 중견·중소기업도 있었다. 제조 중견기업에서 일하는 박모씨는 “대기업이 아니라 그런지 이 시국에도 사무실에서 근무했다”며 “다들 분위기가 안 좋아서 일이라도 잘못하면 탈탈 털리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대기업이어도 일터가 본사냐 파견업체냐에 따라 분위기가 달랐다. 윤모(31)씨는 “본사는 대부분 재택근무인데 고객사에 파견 나온 직원들은 재택근무를 하지 못한다”며 “역차별인 것 같지만 욕하기에는 제 얼굴에 침 뱉기”라고 고백했다. 심지어 ‘회사 출근인력은 20%에 불과하다’고 한 한 대기업에서는 부서장에 따라 출근을 강행해야 한다는 불만의 목소리도 나왔다. 5대 그룹에 다니는 박모(41)씨는 “인사팀에서는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재택근무를 하라지만 팀장이 회사에 나오라고 하면 방법이 없다. 팀장과 임원 모두 회사에 나온 상태”라며 지침과 다른 현장 분위기에 불만을 토로했다. 지난주부터 재택근무에 돌입한 워킹맘 한모(36)씨는 “아이 유치원이 문을 닫는 바람에 돌봄을 부탁할 곳이 없어서 재택근무 중”이라며 “업무효율이 회사보다 떨어지는 상황에서 일과 육아를 함께해야 하는 팀 직원들도 많아서 그런지 밤11시 넘어서까지 회사 메신저로 연락이 온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한산한 식당가…문 닫은 체육시설=‘직장인의 쉼표’인 점심시간은 변화가 더욱 크게 느껴졌다. 서울 종로구 두산위브파빌리온 지하 식당가에서는 사람을 마주하기도 어려웠다. 문을 활짝 연 식당들은 손님 맞을 준비를 끝냈지만 빈자리가 대부분이었다. 이곳에서 찜 요리 가게를 운영하는 이모씨는 “지난주와 비교해도 손님이 40% 가까이 줄어들었다”고 말했다. 직장인이 몰려있는 여의도 식당가도 한산했다. 여의도 오투타워는 1층부터 3층까지 음식점과 커피숍이 즐비한 건물이다. 평소라면 오전11시20분부터 이곳 카페와 식당에 대기자가 대여섯 팀씩 있었지만 이날은 어느 곳 할 것 없이 빈자리가 절반을 넘었다. 식당가의 대기자를 알려주는 모니터에는 ‘현재 대기 0팀’이라는 화면만 선명했다. 이곳에서 단독 룸 위주로 운영하는 한 한식당 주인은 “코로나19에도 단독 룸을 운영하다 보니 룸의 경우 항상 만석이었지만 이날은 룸 예약도 텅 비었다”고 말했다.

이날 낮12시30분에 방문한 종로구 디타워 역시 눈에 띄게 한산했다. 이곳에는 다섯 개 층에 걸쳐 16개의 식당이 들어서 있다. 평소라면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 모두 사람으로 꽉 찼을 이곳은 오가는 사람마저 적었다. 식당에는 손님이 없는 테이블이 있는 곳보다 더 많았다. 디타워 입점식당에서 일하는 한모(26)씨는 “확실히 점심시간에 맞춰 포장하는 손님들이 확 늘었다”고 귀띔했다.

서울 시내 대형 카페들도 테이크아웃만 가능하도록 매장 동선을 모두 바꾸고 손님을 맞았다. 스타벅스·투썸플레이스 등 프랜차이즈 카페는 방문하는 모든 이들을 QR코드로 확인하고 모바일주문(사이렌 오더)이나 현장주문 줄을 다르게 배치해 감염 확산 방지 노력을 기울였다. 백화점에는 마스크 자판기가 등장해 눈길을 끌었다. 서울 명동 신세계백화점 본점에 설치된 마스크 자판기 앞에서 몇몇 고객들이 마스크를 샀다.

평일 점심시간을 이용해 잠실의 회사 근처에서 필라테스 강습을 받던 김모(30)씨는 “전날 학원에서 서울시 명령에 따라 일주일간 수업이 모두 중단된다고 연락을 줬다”며 “대신 강사가 비대면수업을 제공해준다고 해서 약속을 잡으려 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헬스장과 당구장, 실내골프연습장, 필라테스 교습소 등에도 집합금지 조치를 적용한 상태다.

한편 기업들은 재택근무 대상 인력을 확대하며 정부의 방역조치에 동참하고 있다. LG전자(066570)는 전체 인원의 30%를 재택근무로 돌렸고 삼성전자(005930)도 9월1일부터 소수인력이지만 재택근무를 시범적으로 운영한다. SK텔레콤·KT(030200)·LG유플러스 등 통신 업체들은 오는 9월6일까지 전사 또는 순환 재택근무를 한다. 네이버와 카카오(035720)는 무기한 원격근무에 돌입했다. /이수민·심기문·김보리·김태영기자 noenemy@sedaily.com

이수민·김보리·심기문·김태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