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트럼프 '흑인 피격' 커노샤行 예고에…"폭력 선동" 반발

시장·위스콘신 주지사 만류 이어

바이든 "트럼프, 증오 촉발 말라"

트럼프 "좌파, 법과 질서 못지켜"

흑인시위 대선정국 첨예 이슈로

미국 오리건주 포틀랜드에서 29일(현지시간) 경찰들이 인종차별 항의 시위대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지지하는 시위대가 충돌하는 과정에서 총을 맞고 숨진 남성의 시신을 옮기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미국 오리건주 포틀랜드에서 29일(현지시간) 경찰들이 인종차별 항의 시위대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지지하는 시위대가 충돌하는 과정에서 총을 맞고 숨진 남성의 시신을 옮기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흑인 남성 제이컵 블레이크 피격사건 이후 인종차별 항의시위가 이어지는 위스콘신주 커노샤를 직접 찾기로 했다. 반면 민주당과 위스콘신주·커노샤시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방문이 정치적이라고 반발해 흑인시위가 대선정국의 첨예한 이슈가 되고 있다.

30일(현지시간) CNN에 따르면 저드 디어 백악관 부대변인은 전날 밤 트럼프 대통령이 다음달 1일 커노샤를 방문해 법집행관들과 만나고 최근 폭동으로 인한 피해를 점검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블레이크의 가족을 만날지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앞서 블레이크는 어린 세 아들이 보는 앞에서 백인 경찰관들이 등 뒤에서 쏜 총에 맞아 크게 다쳤다. 현지에서는 격렬한 시위가 이어지고 있으며 주방위군이 투입된 상태다.

조 바이든 전 부통령 캠프와 민주당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행보에 대해 비판을 쏟아냈다. 케이트 베딩필드 바이든 캠프 선거대책부본부장은 “트럼프 대통령은 여름 내내 폭력을 선동하려 했다”며 “그는 지지자들이 밖으로 나가 공격적으로 행동하도록 장려했다”고 주장했다. 캐런 배스 민주당 하원의원도 트럼프 대통령의 커노샤 방문에 대해 “그의 방문은 한 가지 목적만 갖고 있다”며 “상황을 선동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해당 지역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의 방문을 꺼리고 있다. 커노샤시장인 존 앤터러미언은 이날 “현실적으로 우리는 트럼프 대통령이 현시점에 커노샤에 오지 않기를 바란다”며 “모든 대통령은 언제나 환영받겠지만 그는 당분간 기다리는 것이 나을 것”이라고 밝혔다. 토니 에버스 위스콘신주지사 역시 트럼프 대통령에게 서한을 보내 “당신의 방문이 우리의 치유를 방해하고 분열을 극복하면서 함께 전진하려는 노력을 늦출까 우려스럽다”며 “당신이 방문하면 대규모 자원을 투입해야 한다. 커노샤 방문을 재검토하기 바란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 측의 태도는 완강하다. 트럼프 대통령 차남 에릭의 부인이자 트럼프 캠프 선임고문인 라라 트럼프는 “민주당 소속 시장들은 폭력시위의 와중에 시민을 보호하는 대신 정치를 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실제 흑인시위를 둘러싼 양측의 공방은 갈수록 격화하고 있다. 지난 29일 포틀랜드 시내에서 발생한 인종차별 항의 시위대와 트럼프 대통령 지지자들 간의 충돌에서 총에 맞아 사망한 남성이 트럼프 대통령 지지자로 확인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트위터에 “그의 이름은 제이 비숍이다. 자신의 나라를 사랑하고 경찰을 지지한 좋은 미국인이었다”며 “그는 포틀랜드에서 안티파(antifa·극좌파)에 숨졌다”는 내용의 글을 올렸다.

비숍은 포틀랜드 지역의 극우단체인 ‘패트리엇프레이어(Patriot Prayer)’ 소속으로 지금까지 개인신상은 나오지 않았는데 트럼프 대통령이 이를 공개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바이든 전 부통령과 민주당을 겨냥해 “급진 좌파인 시장이나 지하실에 있는 어떤 인간은 절대로 법과 질서를 유지해낼 수 없다”고 주장했다.

바이든 전 부통령은 이 사건과 관련해 “폭력은 용납할 수 없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무분별하게 폭력을 조장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서로가 전쟁 중인 나라가 돼서는 안 된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우리 사회에 증오와 분열의 불길을 퍼뜨리는 짓을 멈춰야 한다”고 촉구했다. 블룸버그통신은 “대선을 약 2개월 남긴 바이든 후보가 내놓은 가장 강력한 표현”이라고 평가했다.

이와 별도로 바이든 전 부통령은 당선 시 내년 초에 1조달러(약 1,182조원) 규모의 긴급 경기부양책 시행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뉴욕=김영필특파원 전희윤기자 susopa@sedaily.com

김영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