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치아교정장치 부착 후 며칠, '구강 세균'에 가장 취약

장치 잘 붙게 치아면 처리해

충치·잇몸 염증 세균에 취약

교정 땐 V홈 파인 칫솔 써야

치아 교정은 여러 치과 치료 중 시간이 오래 걸리는 축에 속한다. 치아의 뿌리 부분이 잇몸뼈 사이로 이동하다 보니 환자의 구강상태나 이동 정도에 따라 수년이 걸리는 경우도 있다.

교정치료의 목적은 크게 기능 개선과 심미성 향상, 구강건강 개선으로 나눌 수 있다. 음식을 잘 씹을 수 있게 하거나 발음을 좋게 하는 게 기능 개선에 해당한다. 덧니·뻐드렁니 등 치아 배열을 가지런하게 하는 것은 심미성 향상에 속한다. 이가 심하게 비뚤어져 겹쳐 있으면 칫솔질을 해도 음식물이 치아 사이에 남아 세균이 잘 자라 입 냄새, 충치·잇몸질환의 원인이 되므로 교정치료를 통해 구강 건강을 개선할 수 있다.




치아의 맞물림에 문제가 있는 부정교합으로 인해 저작 기능에 문제가 있는 경우라면 심미적 문제는 물론 음식물을 통한 영양섭취의 어려움으로 전신 건강에 안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치과교정과 전문의와 상담해볼 것을 추천한다.


교정치료를 하는 대다수 환자들이 호소하는 불편 중 하나는 ‘교정장치에 음식물이 끼어 관리가 어렵다’는 것이다. 교정치료 중에는 치아에 부착하는 브래킷과 와이어 또는 밴드로 인해 구강 내 자연스러운 자정작용이 이뤄지기 어려우며 장치에 음식물이 쉽게 낄 수 있다.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충치가 생기거나, 교정장치 부착 부위의 치아 색깔이 나머지 부위와 달라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올바른 방법으로 구강관리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관련기사



교정장치 주위에 칫솔질이 잘 이뤄지지 않으면 세균들이 부착되고 성장해 치태(플라크)가 형성된다. 교정장치 주위에 남아있는 음식물은 치태 내부 세균의 영양분이 돼 치태의 성장을 더욱 촉진할 수 있다.

안석준 서울대치과병원 교수안석준 서울대치과병원 교수


치태는 구취, 충치, 치주질환 등 다양한 질병의 원인이므로 음식물 섭취 후 반드시 칫솔질하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일반 칫솔보다는 V자 모양으로 가운데 홈이 파인 교정 전용 칫솔을 사용하는 게 좋다. 치간칫솔이나 치실 등을 함께 사용해 꼼꼼하게 관리해야 한다.

안석준 서울대치과병원 치과교정과 교수는 “교정장치가 잘 부착되도록 (치아면을 다소 오돌토돌하게 하고 산 처리를 하는) 에칭 단계에서 치태 내 병원성 세균, 특히 충치를 유발하는 뮤탄스균과 잇몸 염증을 유발하는 진지발리스균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며 “교정장치 부착 후 며칠 동안은 설탕 등 당분이 많이 포함된 음식을 피하고 평소보다 세심한 구강관리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임웅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