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문 닫는 '집값 오른다' 유튜버…김현미 구독 '폭락' 유튜버'는 유명세[집슐랭]

35만 유튜버 "회사에서 곤란한 상황"

한 유튜버는 설명없이 모든 방송 삭제도

정책 반대 상승론 유튜버들 잇단 방송 중단

정부 "온라인 점검"에 하락 유튜버만 남을 것"

모든 방송이 삭제된 부동산 유튜버 ‘석가머니’의 유튜브 채널 모습. /유튜브 캡처모든 방송이 삭제된 부동산 유튜버 ‘석가머니’의 유튜브 채널 모습. /유튜브 캡처



#. “정권에 아부하는 유튜버만 살아남겠네요. ‘집값 내려간다’고 하지 않으면 유튜브 영상도 올릴 수 없는 시대가 오는 건 가요.”(부동산 커뮤니티의 한 회원)

부동산 관련 커뮤니티에서는 구독자 7만 여명을 보유한 부동산 유튜버의 갑작스런 방송 중단을 두고 여러 뒷이야기가 오갔다. 해당 유튜버인 ‘석가머니’는 이날 별 다른 언급 없이 갑작스럽게 자신의 채널에 올라온 모든 방송을 내린 채 사라졌다. 자신이 운영하는 온라인 커뮤니티 또한 회원들을 강제탈퇴 시키면서 폐쇄를 예고했다. 이를 두고 부동산 커뮤니티 사이에서는 “정부가 ‘시장 교란 행위자’로 몰아 폐쇄 압력을 넣은 것 아니냐”는 등 확인되지 않은 추측이 오갔다.


정부가 유명 유튜버, 블로거 등 이른바 ‘부동산 인플루언서’의 비위 수사에 착수한다는 의지를 밝힌 가운데 최근 유명 유튜버들이 연달아 ‘방송 종료’를 선언하고 있다. 시장에서는 정부의 ‘수사 대상’ 언급이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구독자 35만여명을 보유한 부동산 유튜버 ‘재테크 읽어주는 파일럿’은 지난달 23일 방송을 마지막으로 “방송을 종료한다”고 선언했다. 그는 마지막 방송에서 “유튜버가 직업이 아닌 취미생활이었는데, (구독자 규모가) 커지다 보니 회사 입장에서도 곤란한 상황에 처하게 됐다”며 “회사에서 정중하게 ‘곤란한 상황’에 대해 설명했다”고 이유를 밝혔다. 그러면서 앞으로는 방송을 접고 본업인 항공사 기장 역할로 돌아가겠다고 덧붙였다.

방송 종료를 선언한 부동산 유튜버 ‘재테크 읽어주는 파일럿’의 채널 화면. /유튜브 캡처방송 종료를 선언한 부동산 유튜버 ‘재테크 읽어주는 파일럿’의 채널 화면. /유튜브 캡처


박병찬 리얼피에셋 대표가 운영하는 구독자 13만여명 규모의 ‘박병찬의 부동산 부자병법’ 또한 지난 1일부터 유료로 진행하는 멤버십 서비스를 종료한다고 밝혔다. 이 채널은 월 12만원의 유로 멤버십 서비스에 가입하면 특정 지역, 단지 등을 별도로 소개해 왔다. 하지만 이 같은 유료 방송이 ‘시장 교란 행위’로 해석될 가능성을 우려한 것으로 보인다.


이밖에 이보다 규모가 적은 부동산 유튜버 일부도 채널을 접거나 방송을 더 이상 올리지 않는 등 ‘활동 중단’에 나서고 있다. 시장에서는 정부가 유튜버들에 대한 수사 가능성을 언급하는 등 압박에 나선 여파로 보고 있다.

관련기사



앞서 지난달 정부는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주재하는 ‘부동산시장 점검 관계장관회의’에서 “최근 우려되는 온라인 플랫폼에서의 교란 행위에 대해 합동특별점검을 진행 중”이라며 “의심 사례에 대해서는 내사에 착수하고 형사입건 조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지난 2월 개정된 공인중개사법에 따르면 ‘시세에 영향을 미치는 행위’나 ‘특정 공인중개사의 중개의뢰를 제한·유도하는 행위’ 등을 할 경우 3년 이하 징역이나 3,000만원 이하 벌금을 부과하도록 했다.

최근 활동을 중단하는 유튜버들이 대체로 부동산 시장의 상승 가능성을 점치는 주장을 주로 펴 왔다는 점에서 시장 일각에서는 ‘정부가 수사를 명분으로 상승론자들을 표적 삼는 것 아니냐’는 주장도 나온다.

반면 이들과 달리 이른바 ‘폭락론자’로 유명한 유튜버들은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의 채널 구독 사실이 알려지면서 구독자가 증가하는 등 오히려 유명세를 얻고 있는 상황이다. 김 장관의 유튜브 구독 채널에는 ‘하락론’으로 유명한 ‘쇼킹부동산’과 ‘라이트하우스’가 포함돼 있었다. 라이트하우스의 경우 지난 7월에는 구독자가 36만여명 수준이었지만 최근에는 38만명을 넘어섰다.

부동산 업계의 한 관계자는 “유튜브의 경우 정제된 기사나 방송국 프로그램과 달리 좀 더 자극적인 내용이 달릴 수밖에 없다”며 “특히 구독 경쟁을 위해 특정 지역이나 단지를 거론할 수밖에 없는데, 이 경우 정부의 단속 대상이 될 수 있다 보니 알아서 조심하는 것 아니겠냐”고 말했다.



진동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