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정책

코로나 타격 입었던 자산운용사, 2분기 증시 활황에 역대 최고 순이익

금융감독원, 2분기 자산운용사 실적 집계

309개사 당기순이익 합계 3,171억원 기록

전년 동기 대비 48.9%, 1분기보다 169.4% 증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1·4분기에 실적이 부진했던 자산운용사들이 지난 2·4분기에는 증시 활황에 힘입어 역대 최대 수준의 순이익을 냈다.

1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자산운용사 309개 전체의 당기순이익 합계는 3,171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8.9% 늘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1·4분기보다는 169.4% 급증했다. 고유재산 운용으로 얻은 증권투자손익(파생상품 손익 포함)이 943억원으로 1·4분기보다 180% 급증한 영향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코로나19로 급격히 악화했던 주식시장이 회복되면서 수탁액도 늘고 이익도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자산운용사들의 운용자산 규모도 역대 최대치로 늘었다. 6월 말 기준 자산운용사들의 운용자산은 3월 말보다 37조1,000억원 많은 1조186조5천억원으로 집계됐다. 항목별로는 펀드수탁고가 681조8,000억원, 투자일임계약고는 504조7,000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공모펀드 자산은 2분기 중에 19조7,000억원 증가해 260조6,000억원이 됐고, 사모펀드 자산은 3조1,000억원 늘어난 421조2,000억원이다.

관련기사



자산운용사 309개 중 적자를 낸 회사는 120개(38.8%)이다. 적자회사 비율은 1·4분기의 62.3%의 절반에 가까운 수준으로 줄었다. 2·4분기 자산운용사들의 자기자본이익률(ROE)은 1·4분기보다 9.6%포인트 높은 15.8%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는 2.5%포인트 높아졌다.

금감원은 주식시장 안정세로 자산운용사의 당기순이익과 수익성 지표가 크게 개선됐지만 여전히 코로나19 재확산 우려와 증시 불안 등 대내외 리스크 요인이 있는 상황으로 판단하면서 수익 기반이 취약한 자산운용사의 재무·손익현황을 점검하는 한편 펀드수탁고와 자금 유출입 동향 등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할 방침이다.

박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