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부본부장은 12일 브리핑에서 “치료제와 백신은 과학의 문제이고, 안전과 직결된 문제이기 때문에 긴 축적의 시간이 필요하다”며 “(한국은) 이런 분야에 대한 투자와 관심이 늦었고, ‘축적의 시간’이 부족했기 때문에 현재 치료제·백신 개발의 선두에 서지 못한 상황”이라고 했다.
그는 “글로벌기업은 과거 에볼라 유행 이후 개발한 백신을 이용해 코로나19 백신을 개발하고 있다”며 “이미 한 가지 백신을 끝까지 개발하고 임상시험까지 거쳐봤기 때문에 더 빠르고 정확하게 나아갈 수 있는 것”이라고 했다.
권 부본부장은 “일단 출발선은 다르지만, 국내 최고의 전문가들과 연구기관, 기업들이 합심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이번 코로나19 백신 개발은 끝까지 가봄으로써 최악의 경우 국민들이 우리나라 백신을 맞지 못한다고 하더라도 백신 개발 경험을 축적해 이후 신종 감염병을 대비하겠다”고 했다.
그는 “치명률이 높은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안전을 위해 생물안전3등급(BL3) 이상의 연구시설이 필요하다”며 “재정적 부담으로 민간기업이 BL3 시설을 운영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라고 했다. 이어 “스타트업이나 중소기업 등 민간기업들을 이미 BL3 연구시설이 있는 공공기관과 대학, 의료기관에 연계해 코로나19 관련 연구·개발을 촉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까지 19개 기관이 생물안전3등급 연구시설 활용을 신청했고, 이 중 10곳에 대해 관련 연구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연계를 완료했다는 게 당국의 설명이다.
자체 백신 개발이 늦어지면 일상으로의 복귀도 늦어질 가능성이 크다. 백신을 개발한 선진국들이 자국에 백신을 우선 공급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미국의 경우 올해 말 백신이 개발된다 하더라도 일상으로의 복귀는 내년말에나 가능하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실제 앤서니 파우치 국립보건원(NIH) 산하 알레르기·전염병 연구소장은 지난 11일 “올해 코로나19 백신이 개발되더라도 과거의 정상적 일상으로 돌아가는 것은 내년 말에나 가능하다“고 말했다.
미국 전염병 최고 권위자인 그는 이날 MSNBC 인터뷰에서 “올해 말이나 내년 초에 백신이 나올 것으로 조심스럽게 낙관한다”며 이 같이 말했다. 파우치 소장은 “약효 70~75%의 백신을 올해 말부터 접종할 수 있다고 가정하면 내년부터 전염병을 훨씬 더 잘 통제할 수 있다”면서도 “전염병 종식은 점진적으로 진행된다”고 했다. 미국에서는 일 평균 4만명의 신규 확진자, 1000여명의 사망자가 보고되고 있다. 실제 감염자수는 이보다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