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생들이 전날 국시거부를 잠정 유보한 데 이어 동맹휴학을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동맹휴학 중단이 곧 국시 응시 기회 요청으로 이어질지 여부는 미지수다. 정부 역시 당사자들이 시험을 거부하는 상황에서 추가 시험을 검토할 의향은 없다는 입장을 재차 밝히고 있다.
14일 전국 의대생들을 대표하는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의대협)는 전날 오후 4시부터 이어진 대의원회 회의를 통해 이같이 의결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국시 응시자인 본과 4학년생을 제외한 전국 의대생 1만5,542명 중 휴학계를 제출했던 91%인 1만4,090명이 학교로 돌아갈 수순을 밟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의대협은 이와 함께 동맹휴학 중단의 조건으로 내걸었던 ‘보건의료 정책 상설감시기구’를 구성해 활동에 들어가기로 했다. 해당 기구에는 의대협과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가 참여한다. 상설감시기구는 의·정 합의안의 이행 감시와 지역의료 불균형 및 필수·기피 과목 등 의료문제 해결을 위해 운영될 예정이다. 의대협은 “이 기구는 두 단체를 시작으로 계속 규모를 키우며 대한전공의협의회 등 젊은의사단체를 넘어 의료계 내 여러 직역과 연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의대생들이 학업에 복귀한다고 해서 본과 4학년 학생들에게 국시 재응시 기회가 주어질지는 여전히 결정되지 않았다. 손영래 복지부 대변인은 이 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에서 “의대생들은 스스로 국가시험을 거부하고 있으며 국가 시험을 응시하겠다고 하는 의견을 받은 바는 없다”며 “일주일 간 반복해서 동일한 대답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손 대변인은 “당사자들이 자유의지로 시험을 거부하는 상황에서 추가 시험을 검토할 필요성을 떨어진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추가 기회 부여는 국가 시험을 준비하고 치르는 다른 이들에 대한 형평성과 공정성에 위배되는 측면이 있다”며 국민의 동의와 양해가 선행되지 않는다면 정부로서도 국가 시험의 추가 기회 부여를 쉽게 결정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