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가 남북 연락사무소 개소 2주년을 맞아 관련 조직을 지금도 운영 중이라며 하루빨리 재가동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여상기 통일부 대변인은 1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공동연락사무소 경영이 중단돼 남북 간의 기본적인 연락체계도 갖추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는 것에 대해 매우 안타깝게 생각한다”며 “정부는 하루 속히 남북연락사무소가 재가동이 되고 남북 간 연락채널이 복원되기를 희망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 북한 개성에서 국내로 들어온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우리 측 인원과 조직을 계속 유지할 것인지를 묻는 질문에는 “현재도 조직은 유지되고 있다”며 “앞으로 어떻게 될 것인지는 논의가 필요한 사항”이라고 답했다. 개성 남북연락사무소는 2018년 9월14일 4·27 판문점선언에 따라 남북 간 상시 소통을 위해 설치됐다.
지난 10일 탈북자 단체 2곳이 사무검사 현장 방문을 거부한 것을 두고 ‘기습 재개’라는 평가가 나오는 것에 대해선 “통일부는 25개 법인에 대해 사무검사 계획을 수립했고 대상 법인과 일정협의를 거쳐서 8월 중순부터 사무검사를 진행해 왔다”며 “그런데 8월25일 코로나 위기단계가 2.5단계로 격상되면서 대상 법인들과 협의해 사무검사 일정을 조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여 대변인은 “9월10일부터 일정조정 및 협의가 이루어진 법인들을 대상으로 사무검사를 진행하고 있다”며 “단체 측의 입장, 코로나19 상황 등에 따라 사무검사 일정을 유연하게 조정해 온 것으로 사무검사를 중단한 것은 아니었고 기습 재개했다는 말도 맞지 않는다”고 항변했다. 그러면서 “기습재개를 주장하던 2개 단체도 당초 사무검사 일정조정에 합의를 했는데 사무검사 당일, 현장에서 갑자기 검사에 불응하며 이러한 주장을 한 것”이라며 “현재 이 단체들과도 사무검사 일정을 협의 중”이라고 전했다.
미국 밥 우드워드 워싱턴포스트(WP) 기자의 신간 ‘격노(Rage)’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친서들도 공개된 데 관해서는 “아직 발간이 되지 않은 외국 언론인의 제작물 내용에 대해 우리 정부 차원에서 언급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말을 아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