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코로나 수험생' 구제나선 한국외대...대입수시 '서류형', '논술전형' 노려라

[2021 대입수시 전략]

수시 문턱 낮춰 응시생 부담 덜어줘

면접 없는 100% 서류 전형 신설하고

논술전형에선 수능최저학력기준 완화

서해5도 학생엔 '고른기회전형Ⅰ' 기회







‘한국외대 올해 수시는 면접형과 논술형을 노려라’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대입 준비에 어려움을 겪는 수험생들에게 한국외국어대학이 주목 받고 있다. 수시 유형중 학생부종합전형(학종)에서 응시생의 면접 부담을 없앤 ‘서류형’전형을 새로 도입하고, 논술전형에선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완화하는 등 수험생 고충 해소에 나선 것이다.

한국외대는 올해 2021학년도 대학 입학전형을 통해 전체 모집인원(3,562명)중 60.6%인 2,159명을 수시모집으로 선발한다. 특히 학종 모집인원을 전년보다 약 17%(168명) 늘려 1,179명을 선발하는데 그중 425명(‘고른기회전형Ⅱ’포함) 을 신설된 ‘서류형 전형’을 통해 모집한다. 서류형 전형은 면접 없이 100% 서류심사로 학생을 선발하는 방식이다. 한국외대는 수시 응시자에 대해 서류형과 면접형 중복지원을 허용한다.


학업역량이 우수한 학생중 학교생활을 충실히 한 학생이라면 서류형 지원이 유리할 수 있다. 서류형의 평가요소 중 학업역량 평가 비중이 높기 때문이다. 면접형은 계열적합성에 대한 평가 비중이 높다. 따라서 학업역량 관련 지표는 다소 저조해도 지원 분야에 대한 관심과 열정을 갖고 있고 고등학교 재학 중 꾸준히 노력해온 학생에게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한국외대 2021학년도 입학전형 개요/자료출처=한국외대한국외대 2021학년도 입학전형 개요/자료출처=한국외대


서해5도 지역 학생과 농어촌학생,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국가보훈대상자 등이라면 사회적배려대상자에게 대입문을 열어주는 ‘고른기회전형Ⅰ’을 노려볼만 하다. 특히 해당 전형에 대한 서해5도 지역 학생 응시자격은 서해5도 지원 특별법에 근거해 이번에 신설돼 주목된다. 고른기회전형Ⅰ응시자는 학종의 면접형에 중복지원할 수 없다는 점은 유의사항이다.

다른 수시 유형인 논술전형에 대해선 수능최저학력기준이 완화됐다. 기존에는 ‘국어, 수학(가/나), 영어, 사회탐구(2과목 평균)중 2개 영역 등급의 합이 4이내’이던 기준을 ‘국어, 수학(가/나), 영어, 탐구(사회 혹은 과학탐구 1과목)중 2개 영역 등급의 합이 4이내’로 변경한 것이다. 논술고사는 통합교과형 논술로 실시되는데 인문계와 사회계로 나뉜다. 양재완(사진) 한국외대 입학처장 등에 따르면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이수한 학생이라면 쉽게 이해하고 풀 수 있게 고등학교 교사가 출제위원으로 참여해 지난 2년간 유지해 온 ‘수험생이 이해하기 쉬운 논술’의 출제 방향은 그대로 유지된다.

양재완 한국외대 입학처장/사진제공=한국외대양재완 한국외대 입학처장/사진제공=한국외대


한국외대는 학종 응시자에 대한 부담도 낮췄다. 중요 평가요소 중 하나인 전공적합성을 계열적합성으로 변경한 것이다. 고교 교육과정 내에서 계열관련 교과목 이수 및 성취도, 계열에 대한 관심과 이해와 계열 관련 활동과 경험을 종합평가한다. 한국외대는 평가과정의 공정성을 높이고, 계열적합성이 우수한 학생을 선발할 수 있도록 위촉사정관의 서류 및 면접 평가 참여 방식도 변경한다고 밝혔다.

한편 한국외대는 서울캠퍼스의 학생부교과전형에서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신설해 해당 전형 지원자는 지난해와는 다른 응시전략을 짜야할 것으로 보인다.

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