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

비수기 사라진 서울 전세… 16개월째 올랐다

올헤 서울 아파트 전세 누적상승률 5.90%

최근 5년래 가장 높아

임대차3법 시행으로 전세 매물 품귀

사전청약 수요 유입으로 내년까지 오를 듯




서울 아파트 전세 시장이 매물 부족으로 계절적 비수기 없이 오르고 있다.

부동산114는 올 1월부터 8월까지 누적 서울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이 5.90%를 기록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는 2015년 이후 5년 래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특히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지난해 5월부터 올해 8월까지 16개월째 오르고 있다. 특히 올해는 전통적인 전세 거래 비수기인 7~8월에도 전셋값이 오르면서 상승폭이 이어졌다.


부동산114는 최근 전셋값 상승의 1차적인 원인을 정책발 매물부족으로 보고 있다. 윤지해 부동산114수석연구원은 “최장 4년의 계약기간 보장되는 계약갱신청구권 시행으로 전세 물건이 부족한 상황”이라며 “여기에 코로나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로 모르는 사람에게 전셋집 보여주기를 꺼리면서 결국 임대인과 기존 임차인이 재계약하는 거래 중심으로 시장이 재편돼 전세 유통물량이 줄어들었다”고 분석했다.

관련기사



부동산114는 또 전세가격은 당분간 고공행진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임대차3법에 따른 계약갱신청구권과 사회적 거리두기 영향으로 인해 재계약 위주 전세시장이 한동안 이어질 수 밖에 없는 상황인데다 여기에 가을 이사철이 돌아오고, 3기 신도시 사전청약 대기수요까지 가세했기 때문이다. 2010년 이후 가을이사시즌(9~11월) 가장 상승률이 높았던 해는 2013년(4.05%)이며 가장 낮았던 해는 2018년(0.64%) 였다. 부동산114측은 최근의 상승추세 등을 고려할 때 올해 상승률이 지난해 가을 시즌(1.29%) 보다는 높은 전세가격 상승 흐름을 예상했다.



윤 연구위원은 “3기신도시와 서울 도심에서 예정된 6만가구의 사전청약 담청을 위해 지역거주기간을 미리 채우려는 무주택자들의 임차수요 유입이 상당하다”며 “유통되는 전세 물건이 줄어드는 가운데 상대적으로 전세 수요는 늘어나는 상황이어서 상승세가 올해를 넘어 내년까지도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김흥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