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중국의 정보기술(IT) 기업 텐센트가 투자한 미국 내 게임회사들에 데이터 보호 규약에 대한 정보 제출을 요구했다고 17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 등 외신이 보도했다.
지난달 국가 안보를 이유로 틱톡을 운영하는 바이트댄스에 행정명령을 내려 틱톡의 미국 사업을 미국 기업에 매각하는 절차가 사실상 일단락될 조짐을 보이자 또 다른 타깃인 텐센트를 본격적으로 공격하기 시작한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블룸버그통신은 재무부가 위원장을 맡고 있는 미국 외국인투자위원회(CFIUS)가 에픽게임즈와 라이엇게임즈 등 기업에 미국인의 개인정보 취급과 관련된 데이터 보호 규약을 문의하는 내용의 서한을 보냈다고 소식통을 인용해 전했다. 라이엇게임즈는 유명 게임 ‘리그오브레전드’, 에픽게임즈는 인기 비디오게임 ‘포트나이트’의 개발사로 텐센트는 라이엇게임즈의 지분 100%를, 에픽게임즈의 지분 40%를 보유하고 있다.
CFIUS는 외국 기업이 미국 기업을 인수하거나 지분을 사들이는 것과 관련해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될지 등을 조사할 수 있다. 특히 대통령에게 거래 제한 등을 권고할 권한이 있다는 점에서 이 조치가 주목된다.
과거 재무부에서 CFIUS 리뷰를 담당한 아이먼 미르 변호사는 블룸버그TV와의 인터뷰에서 “그동안 위원회는 보건과 금융, 공무원의 정보 등과 같은 민감한 데이터를 보호하는 데 관심이 있었지만 최근 관심은 데이터의 잘못된 유출 등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되는 여러 형태로 넓혀지고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미국 정부가 이를 밀어붙일 경우 또다시 중국을 자극할 수밖에 없어 이번에는 중국 정부가 중국 내에서 사업하는 미국 기업에 대한 보복으로 강하게 맞설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이번 조치와 관련해 미 재무부는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중국의 통신장비 업체 화웨이에 이어 모바일 동영상 공유 애플리케이션 틱톡과 메신저 서비스 앱 위챗 때리기에 나섰던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이번에는 텐센트로 시선을 돌리며 대중 제재의 보폭을 더욱 넓히고 있다.
틱톡의 미국 사업 부문 인수를 둘러싼 논의가 완전히 마무리되기도 전에 또 다른 중국의 대표 정보기술(IT) 기업에 대한 압박에 나선 셈이다. 대선이 50일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멈출 줄 모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과 각종 폭로 서적 등으로 수세에 몰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대중 압박정책의 수위를 한층 높이며 지지자 끌어모으기에 나서는 것으로 보인다.
블룸버그통신은 트럼프 행정부가 텐센트가 투자한 미국 내 게임회사들에 데이터보호 규약에 대한 정보를 제출할 것을 요구하는 내용의 서한을 보냈다고 17일(현지시간)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게임회사들을 통해 텐센트 조준에 나선 것은 텐센트의 전체 매출 중 게임이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높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하나금융투자에 따르면 지난해 텐센트의 매출액은 3,772억8,900만위안(약 64조8,900억원)이었는데 이 중 게임은 1,147억1,000만위안으로 전체 사업 부문 가운데 가장 많은 30% 이상을 차지했다. 지난해 4·4분기의 경우 전년 동기 대비 25.2%나 증가할 정도로 게임사업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텐센트는 지난해 매출 기준 세계 1위 게임 퍼블리셔로 ‘리그 오브 레전드’의 경우 2018년과 2019년 각각 14억달러(약 1조6,268억원), 15억달러의 매출액을 기록하면서 글로벌 매출액 톱 순위권에 들기도 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이 사용을 금지하겠다고 밝힌 위챗의 경우 매출에 미치는 영향은 상대적으로 적다. 특히 게임과 달리 위챗은 중국인을 중심으로 이용되는 일종의 내수용 서비스이기 때문에 텐센트가 받는 충격은 생각만큼 크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반면 텐센트의 최대 매출창고인 게임사업을 건드릴 경우 충격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IT 전문매체 시넷은 앞서 위챗 사용을 금지하는 내용의 행정명령 서명 당시 백악관이 이 명령은 위챗이 미국에서 사업하는 것을 막았을 뿐 소유주인 텐센트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밝혔으나 미국 외국인투자위원회(CFIUS)의 이번 요청으로 상황이 달라질지도 모른다고 전했다.
무엇보다 이번 조치가 주목되는 것은 틱톡을 둘러싼 논의가 끝나기도 전에 나왔다는 점이다. 지난달 6일 트럼프 대통령은 국가 안보 위협을 이유로 틱톡의 모회사 바이트댄스와 위챗의 모회사인 텐센트와의 거래를 금지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위기에 처한 바이트댄스는 틱톡의 미국 사업 부문 매각을 고려했으나 중국 정부의 압박을 고려해 미국 기업인 오라클과 기술협력을 하겠다고 밝힌 상태다. 백악관과 가까운 오라클을 ‘신뢰할 수 있는 기술파트
너’로 내세워 미국 정부가 우려하는 국가안보 우려를 해소하겠다는 것이다.
이 논의는 진전을 보이고 있다. 블룸버그통신과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스티븐 므누신 미 재무장관은 전날 바이트댄스에 수정된 내용의 계약서를 보냈고 바이트댄스와 오라클은 이를 수용했다고 관계자를 인용해 보도했다. 이 계획에 따르면 오라클은 미국 정부의 승인을 받은 독립적인 이사회와 함께 미국에 본사를 두고 신설되는 틱톡의 소수 지분을 인수한다. 이사회는 미국 시민으로만 구성되며 국가안보위원회도 포함된다. 미 백악관이 요구하는 매각 방식에 별다른 저항 없이 따르는 모양새다.
다만 위험요소는 남아 있다. 수정된 안이 시행되기 위해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승인이 필수적이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후까지 수정된 내용을 보고받지 못했기 때문이다. 특히 마크 메도스 백악관 비서실장은 수정된 안이 대통령이 제시한 목표와 잘 맞지 않는다고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 여기에 중국 정부의 승인도 필요하다. 중국 정부가 백악관의 요구가 과하다며 반발하는 움직임이 감지되지만 아직까지 공식적 대응은 없으며 미국과의 마찰을 껄끄러워해 결국 틱톡 매각은 미국이 원하는 방식으로 마무리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이처럼 미 백악관이 틱톡 매각을 원하는 대로 성사시킴으로써 최종적으로 텐센트의 주력 사업인 게임 분야를 결국 매각으로 이어지게 하려는 셈법이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대선을 앞둔 트럼프 대통령으로서는 중국 IT 산업을 견제하는 동시에 미국의 안보와 미국 기업들의 산업적 우익을 챙겼다는 일석이조의 효과로 선거 판세에 긍정적 영향이 미치기를 기대한다는 분석이다. 김연하기자 yeona@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