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車 폐배터리 재활용 시동…국가표준 마련 뒤따라야"

[혁신 꿈틀대는 규제자유특구]

<하> 울산 ‘수소전지’ 메카 도약

■김창인 에스아이셀 대표




“전기자동차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가운데 폐차 이후 그 안에 있는 배터리를 재활용하는 기술은 환경보호를 위해서는 물론 경제적 측면에서도 꼭 필요합니다.”

국내에서 독보적인 폐배터리 재활용 기술을 갖춘 에스아이셀의 김창인(사진) 대표는 지난 20일 서울경제와의 인터뷰에서 “이제 배터리 재활용을 통한 에너지 재사용이 어려운 첫발을 내디뎠다”며 “무엇보다 상용화를 위해서는 정부의 행정적 지원과 함께 성능을 인증할 수 있는 표준이 뒤따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에스아이셀은 10여년간 배터리 관련 연구개발을 해오다 최근에는 이미 다 쓴 자동차 배터리를 재활용해 스쿠터·전기자전거·무정전전원장치(UPS) 등을 만드는 프로젝트에 집중하고 있다. 현재 법적으로는 수명을 다한 전기차 베터리는 재활용할 수 없지만 에스아이셀이 경북 지역의 규제자유특구 지정을 이끌어내면서 지난해부터 기술고도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김 대표는 “전기차 도입이 오래된 유럽 등지에서는 환경오염을 우려해 재사용 배터리 시장이 성장 중”이라며 “한국은 이제 폐배터리를 활용해 민간에서 개발하도록 한 만큼 기술 개발을 뒷받침할 규제가 신속히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당장 재사용된 배터리로 만들어진 스쿠터·자전거가 국가통합인증마크(KC인증)를 받을 수 있는 기준 자체가 없는 게 현실이다. 김 대표는 “시장성과 사업성이 인정된 분야인데 규제개혁 과정에서 새로운 제품군의 안전성까지 보증하는 기틀이 준비돼야 한다”면서 “폐배터리 수량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가운데 1~2년 차라도 상용화가 늦어지면 친환경 에너지 전략과 글로벌 시장 경쟁 모두에서 뒤처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더불어 장기적인 관점에서 컨트롤타워의 필요성도 제기됐다. 현재 전기차 배터리 사업의 경우 환경부와 국토교통부·지방자치단체 등으로 기관별 업무가 흩어져 있어 행정 운영이 더디다는 게 김 대표의 주장이다. 그는 “규제로부터 자유롭게 신사업을 개발해보자고 하지만 폐배터리를 둘러싼 관리주체마다 책임 소재가 분명하지 않아 의사 결정이 기술 개발 속도를 못 따라오는 게 아쉽다”고 지적했다. 이어 김 대표는 “폐배터리를 전기차끼리 재사용하는 것 외에 다른 제품의 에너지저장시스템(ESS)으로 쪼개는 게 해외보다 앞서는 게 국내 기술의 특징”이라며 “정부가 실증작업에 보다 적극적으로 지원하면 상용화 시장을 선점해 주요 수출 비즈니스로 성장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창인 에스아이셀 대표가 폐배터리를 재활용해 만든 전기스쿠터·전기자전거 등 제품 옆에 서있다. /사진제공=에스아이셀김창인 에스아이셀 대표가 폐배터리를 재활용해 만든 전기스쿠터·전기자전거 등 제품 옆에 서있다. /사진제공=에스아이셀


이재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