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로봇·스마트팜 등 40개 분야, 후방산업까지 뉴딜펀드 투자 유도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8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4차 한국판 뉴딜 관계장관회의 겸 제17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8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4차 한국판 뉴딜 관계장관회의 겸 제17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로봇·스마트팜 등 정책형 뉴딜펀드 투자 분야를 선정한 가운데 해당 분야의 후방산업까지 투자를 유도하기로 했다.

정부는 28일 정책형 뉴딜펀드 투자 대상 선별·자산운용에 활용할 수 있는 투자 가이드라인(뉴딜투자 공동기준)을 발표하고 40개의 투자 대상 분야, 197개 품목을 선정했다. 현재 성장지원펀드 등 투자운용사의 투자 대상 선별 기준, 혁신성장 분야 자금 지원 기준으로 활용되고 있는 ‘혁신성장 공동기준’이 바탕이 됐다.


디지털 뉴딜에서는 로봇, 항공·우주, 에너지효율 향상, 스마트팜, 친환경소비재, 차세대 진단, 첨단영상진단, 맞춤형 의료, 스마트헬스케어 등 30개 분야가 선정됐다. 그린 뉴딜에서는 신제조공정, 차세대 동력장치, 바이오소재, 신재생에너지, 친환경발전 등 17개 분야가 뽑혔다. 로봇·스마트팜 등 디지털·그린 뉴딜에서 중복되는 7개 분야를 제외하면 총 40개 분야다.

관련기사



정부는 “기업·프로젝트 등 투자 대상이 투자 가이드라인에 해당하는 경우는 물론 전·후방 산업에도 투자하도록 해 뉴딜펀드가 뉴딜 생태계에 폭넓게 투자할 수 있도록 유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후방산업이란 뉴딜분야 및 품목 관련 핵심 기술·소재·부품 관련 프로젝트 또는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을 말한다.

정부는 산업계와 금융투자업계, 전문가 등 현장의 의견을 수렴해 ‘혁신성장 정책금융협의회’에서 뉴딜 분야를 보완하기로 했다. 오는 11월 품목을 확정하되 추후 지속 조정한다는 방침이다.
/세종=박효정기자 jpark@sedaily.com

박효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