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종목·투자전략

[SEN투자전략]코스피, 추석 연휴·美 대선 이후 낙폭 회복 전망

[서울경제TV=양한나기자]

28일(현지시간) 뉴욕 증시에서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410.10p(1.51%) 오른 2만7584.06으로 마감했다. 스탠다드앤푸어스(S&P) 500은 53.14(1.61%) 오른 3351.60, 나스닥은 203.96p(1.87%) 오른 1만1117.53으로 거래를 마쳤다. 애플과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등 주요 기술주가 모두 상승했다.


국내 증시는 조정기에 들어간 가운데 추석 연휴 이후 미국 대선이 끝난 후 낙폭을 모두 회복할 반등이 나올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김대준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향후 2주 동안 코스피 지수는 2220선에서 2340선 사이를 횡보할 것으로 보인다”며 “통상 추석이나 설날 같은 명절 전에는 투자자들이 포지션을 중립화하는 과정을 거치는데 3일 이상 쉬는 동안 해외에서 발생한 변수들이 주가에 일시적으로 반영되는 걸 회피하려는 심리가 강해지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김 연구원은 “연휴를 겪고 난 뒤엔 트럼프와 바이든의 토론 결과에 대한 시장의 해석을 미국 증시를 통해 확인할 수 있고, 영향력이 순화된 변수를 한국 증시가 반영하기 때문에 예상보다 시장 변동이 크지 않을 수 있다”며 “이번 기회를 통해 기술적 반등을 노리는 투자자들의 저가 매수를 기대할 수 있을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이창환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9월 들어 국내를 포함한 글로벌 증시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개발 지연, 추가 부양책 협상 부결 등 악재가 이어지며 기간 조정을 받았다”며 “9월 조정은 5개월 연속 상승 마감으로 누적된 기술적 피로감과 밸류에이션 부담을 완화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조정 이후 기술적 반등을 전망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이 연구원은 “이를 고려하며 조정이 마무리되고 증시가 반등하는 구겸넹선 이익 모멘텀 팩터와 주가 팩터가 재차 부각될 전망”이라며 “3분기 실적 시즌을 앞두고 있어 이익 모멘텀의 중요성이 부각될 것”이라고 말했다. 3분기 기업이익 전망치는 반등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최근 1개월 간 영업이익 전망치는 2.6% 상향 조정됐고 순이익(지배주주)은 3.6% 증가세를 보였다.

업종별로는 반도체, 소프트웨어, IT가전, IT하드웨어, 디스플레이 등 IT업종, 철강, 화학, 비철 등 소재의 이익 전망치가 상향 조정됐다. 건강관리, 자동차 역시 마찬가지다. 기존 주도주 펀더멘털이 소외주와 비교해서도 여전히 양호하단 평가다.

주가 하락이 과도한 업종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 연구원은 “업종별 시가총액 증감률을 이용해 투자자들의 포트폴리오 변화를 역추적했다”며 “코스피 지수의 시가총액이 약 2% 가량 감소했는데 운송업종의 시가총액은 무려 15.1% 증가한 반면 화학, 건강관리 업종의 경우 비중이 축소했다”고 설명했다.

볼린저 밴드와 같은 밴드를 설정할 경우 단기적으로 비중이 과도하게 쏠려 있는 업종을 선별할 수 있다는 게 이 연구원의 설명이다. 상·하위 밴드를 이탈하게 되는 것은 한 쪽 방향으로 과도하게 쏠렸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평균선을 향해 회귀한다.

이 연구원은 “현 시점에서 비중이 하위밴드에 근접하거나 이탈한 업종은 IT가전, IT하드웨어, 디스플레어, 보험, 증권, 화학, 비철, 목재, 건강관리, 에너지, 건설, 건축 관련, 상사, 자본재 등”이라며 “이중 3분기 실적이 양호한 업종은 IT, 금융, 소재, 건강관리 등”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소프트웨어, 자동차, 반도체 등 3분기 실적 모멘텀이 양호한 기존 주도업종도 상승 품이 충분히 남아 있어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one_sheep@sedaily.com

양한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