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주요국들도 수소 경제를 향해 광폭 행보를 시작했다. 유럽연합(EU)은 2030년까지 최대 1,000만톤의 수소 생산을 지원하고 EU 전체를 아우르는 수소 공급·활용 인프라 구축 전략을 발표했다. 중국은 수소 상용차에 집중해 2030년 수소차 100만대 보급, 충전소 1,000기 이상의 설치 목표를 제시했다. 에너지원으로서 수소에 주목한 일본은 2030년 수소 가격을 kwh당 17엔까지 줄일 계획이다. 미국은 이미 월마트와 아마존 등 물류센터에 수소 지게차 3만대 이상을 공급해 운영 중이고 캘리포니아주에만 수소차 100만대를 보급할 방침이다.
국가별 수소 전략이 다양하지만 일관된 흐름은 있다. 먼저 수소차를 수소 경제의 마중물로 쏟은 후 수소 생산과 운송·활용에 이르는 각 시스템을 균형적으로 끌어올리는 것이다. 수소 경제가 안착하려면 수소 전(全) 주기에 걸친 생태계가 활성화하고 다양한 플레이어들이 활약해야 한다. 아울러 보다 저렴하게 수소를 생산하고 액화·액상수소 등의 대량 운송을 위한 신기술도 필요하다. 수소 연료전지를 선박과 열차·드론 등에 확대 적용하려는 노력도 빠질 수 없다.
수소 경제의 산업적 파급력은 엄청나다. 맥킨지는 2050년 수소 경제 규모가 약 2,500조원에 달하고 한국 시장도 70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국내 에너지 수요의 20%를 수소에 의지할 것으로 예측했다. 현행 탄소 경제에서 수소 경제로의 전환도 머지않았다. 블룸버그는 2030년이면 친환경 수소의 가격이 1㎏당 평균 2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천연가스 생산가격과 비슷해 10년 후면 수소가 화석연료를 대신하는 주요 에너지원으로서 경쟁력을 갖추게 된다.
한국의 미래 전략으로 수소 경제는 선택이 아닌 필수다. 정부와 기업이 힘을 합쳐야 한다. 수소 경제 인프라 구축을 비롯해 기술·인력·금융에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 기업도 핵심 기술 내재화를 통해 주요 부품의 국산화에 앞장서야 한다. 수소 경제 전반에 자생력을 갖춘 생태계가 구축된다면 우리나라가 글로벌 수소 시장을 선도하게 된다. 대한민국의 수소 경제 성공과 세계 시장 석권을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