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中게임 세계시장 휘젓는데…안방에 갇힌 韓게임

中미호요 모바일 RPG게임 원신

한·미·일 시장서 매출 2~4위 차지

中시장은 사드이후 문 걸어 잠가

韓 신작게임 내수용 전락 처지




‘삼류’ 취급을 받던 중국산 게임이 달라졌다. ‘원신(原神)’ 같은 중국의 대작 모바일게임이 한국이나 일본에 뒤지지 않는 높은 퀄리티를 앞세워 한국은 물론 미국·일본 등 글로벌 시장에서도 위세를 떨치고 있다. 반면 한국 게임은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사태 이후 꽉 막힌 수출길로 고전을 면치 못하고 ‘내수용’으로 전락할 처지가 됐다.


9일 국내 구글플레이 스토어 게임 카테고리에서는 중국 미호요사의 오픈월드 어드벤처 게임 원신이 인기 2위, 매출 3위에 올랐다. 출시 이후 3위를 유지해온 ‘바람의나라:연(넥슨)’을 제쳤음은 물론 장기간 국내 모바일게임계의 제왕으로 군림해온 1·2위 ‘리니지M’ ‘리니지2M(엔씨소프트(036570))’의 아성도 위협하고 있다. 이외에 7위 ‘기적의 검’, 10위 ‘라이즈 오브 킹덤즈’, 12위 ‘AFK 아레나’ 등 중국 게임 총 6개가 이날 국내 매출 20위권 안에 들었다. 원신은 콘텐츠 대국인 미국과 일본에서도 각각 매출 2위와 4위를 차지하며 글로벌 게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과거 중국 게임은 공장에서 찍어내는 것같이 천편일률적이라고 해서 ‘양산형’이라는 비아냥을 듣기도 했다. 하지만 이제는 꾸준한 퍼블리싱(유통)으로 다져진 기반 위에 자체 지식재산권(IP) 개발에 공격적으로 투자하며 대형수출국의 반열에 올라섰다. 중국 자국 시장에서도 외산 게임에 대한 ‘판호(영업권)’ 발급 중단으로 자국 게임의 경쟁력을 높이며 ‘만리장성’을 쌓고 있다. 지난 2017년부터 신작 게임에 대한 판호를 받지 못한 한국 게임의 대중화권 수출 비중은 2017년 60.5%에서 2018년 46.5%로 급감했다.

여기에 게임 트렌드가 PC에서 모바일과 콘솔을 아우르는 ‘멀티플랫폼’으로 확장되고 있지만 국내 업계의 대응은 한발 늦었다는 평가다. 마이크로소프트(MS)가 최근 ‘엘더스크롤’과 ‘폴아웃’ 시리즈로 유명한 게임사 베데스다를 전격 인수하는 등 영토전쟁도 활발한 가운데 한국의 존재감은 미미하다. 국내 게임업계 안팎에서는 과거 PC 시절의 영광에 취해 글로벌 시장에서 뒤처지고 있다는 자성의 목소리가 나온다. 한국 모바일게임은 오리지널 IP 부족에 과금 모델 개발에만 열중하는 악순환으로 국내 유저들의 냉담한 시선을 받고 있다.


오지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