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경제’를 선도하기 위한 민관의 움직임이 하나둘 결실을 맺고 있다. 20년 넘게 수소에너지를 연구해온 현대자동차는 지난해 세계 최대 수소차 판매 실적을 올리며 시장 강자로 자리매김했다. 정부도 수소산업을 미래 먹거리로 낙점, 세계 최초로 수소경제 육성 및 수소 안전관리법(수소법)을 도입하는 등 수소 생태계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국내에서 수소차 연구가 시작된 것은 지난 1998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현대차는 당시 연료전지 개발 조직을 신설하며 수소차 개발에 뛰어들었고 2년 뒤 싼타페를 기반으로 한 시험용 수소차를 선보였다. 이후 2010년 양산 모델 개발에 본격 돌입해 2013년 수소차 양산 모델인 ‘투싼ix Fuel Cell’을 출시했다. 세계 최초의 수소전기차 양산 모델이자 도요타의 ‘미라이’보다 1년 이상 앞선 것이었다. 2018년에는 ‘넥쏘’를 공개했다. 1회 충전으로 600㎞가 넘는 거리를 주행할 수 있는 모델로 지난해 세계 판매량 1위를 기록하는 등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다. 2018년 727대에 불과했던 국내 판매량도 지난해 4,194대까지 늘리며 수소차 대중화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에 발맞춰 정부도 지난해 ‘수소경제 로드맵’을 내놓으며 수소 인프라 확대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로드맵에 따라 지난해 구축한 충전소가 20곳에 달할 정도로 강한 육성 의지를 보이고 있다. 정부는 오는 2022년 310곳, 2040년 1,200곳까지 충전소를 확대해나갈 방침이다. 아울러 현재 4,000대 수준인 수소차 보급량을 2022년 8만1,000대로 늘리고 2025년에는 10만대로 키워 상업용 양산체제를 구축하기로 했다. 수소차 제조 가격을 현재 내연기관 차량 가격까지 끌어내리겠다는 것이다.
정부는 현재 수소차를 중심으로 하는 수요 부문을 넘어 생산·저장·운송 전 부문의 경쟁력을 제고하겠다는 목표도 내놨다. 수소 공급 확대→수소 단가 인하→수소 수요 확대로 이어지는 선순환 고리를 구축하기 위해서다. 우선 2022년까지 석유화학이나 제철 공정에서 나오는 부생수소로 수요를 충당하되 2025년부터는 액화천연가스(LNG)를 개질해 얻는 추출수소 생산기지를 지을 계획이다. 이어 2030년까지 제주 풍력, 새만금 태양광 등과 연계한 수소생산기지를 구축해 청정 수소를 생산하는 한편 해외 프로젝트에 참여해 2050년에는 40여개의 해외 수소 공급망도 확보할 계획이다. 올해 수소산업의 체계적 육성을 위해 수소법이 시행된 만큼 정부 목표에도 탄력이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가 청사진을 내놓자 한화·효성을 비롯한 국내 기업들도 잇달아 수소산업에 뛰어들고 있다. 효성은 글로벌 화학기업 린데그룹과 손잡고 총 3,000억원을 투자해 2022년까지 울산에 세계 최대 규모의 액화수소 공장을 짓는다. 고압의 기체수소를 액화하면 부피를 800분의1로 줄일 수 있어 운송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화는 물을 전기 분해해 수소를 생산하는 ‘수전해 기술’을 개발해 수소 생산사업에 본격 진출할 방침이다.
/세종=김우보기자 ubo@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