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 시대가 성큼 다가왔지만 수소를 둘러싼 오해와 우려는 적지 않다. 지난해 강원도 강릉에서 수소탱크 폭발사고가 발생하기도 해 일부에서는 수소충전소 등을 고위험 시설로 낙인 찍고 보는 시각도 있다. 하지만 에너지 전문가들은 이 같은 우려가 수소에 대한 오해에서 비롯된 것으로 수소충전소의 폭발 가능성은 ‘제로’에 가깝다고 단언했다.
수소에 대한 공포는 가공할 만한 폭발력에서 비롯된다. 원소 중 가장 가벼운 수소는 취급하기도 어렵고 공기 중에서 매우 강하게 연소한다. 폭발 강도 역시 수소가 메탄의 10배에 달한다.
다만 폭발 가능성은 여느 에너지원보다 낮다. 수소는 공기 중 농도가 4~75% 범위로 노출될 경우 점화원과 만나 폭발하는데 수소는 공기보다 14배나 가벼워 유출되는 순간 공기 중으로 빠르게 확산돼 농도가 4% 미만으로 급격히 떨어진다. 수소가 자연 발화하는 온도 역시 575도로 휘발유(500도), 경유(345도), 메탄(540도)보다 높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미국 화학공학회에 따르면 수소의 종합 위험도(1)는 가솔린(1.44)이나 LPG(1.22), 도시가스(1.03)보다 낮다”고 말했다.
수소차를 일각에서 ‘수소폭탄’으로 부르는 것은 과장이 지나친 ‘가짜 뉴스’다. 수소차와 수소폭탄에 쓰이는 수소는 구조(원자식) 자체가 다르기 때문이다. 수소차용 수소는 양성자 1개로 이뤄진 반면 수소폭탄 제조에는 ‘삼중수소’와 ‘중수소’가 사용된다. 수소차는 수소와 산소가 결합하는 단순한 화학반응을 이용하지만 수소폭탄은 핵분열과 핵융합을 활용한다는 점도 다르다.
각종 안전장치가 탑재된 수소차나 수소충전소에서 폭발이 일어날 가능성도 극히 낮다. 수소차뿐 아니라 수소충전소에는 이상 압력이 감지될 경우 긴급차단장치와 가스누출 경보장치 등 이중·삼중의 안전장치가 마련돼 있다. 지난해 강원 강릉 수소탱크 폭발 사건은 안전장치가 구비되지 않아 발생한 예외적 사례라는 게 정부와 업계의 평가다.
그럼에도 수소에 대한 막연한 우려가 여전하자 정부는 수소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정책 홍보를 강화하고 있다. 정부는 우선 국회와 정부세종청사 등 국가 주요시설 내에 수소충전소를 확대하면서 수소 안전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했다. 아울러 ‘수소경제 홍보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여수와 부산·대전 등 전국을 돌며 수소의 안전성을 알리는 지역주민 설명회를 이어가고 있다. 산업부의 한 관계자는 “기관별로 분산돼 있던 수소경제 홍보를 일원화해 국민 눈높이에 맞는 다양한 콘텐츠를 만들고 온오프라인 홍보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김우보기자 ubo@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