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새벽배송의 힘!…마켓컬리, '온라인 장보기' 1위 이마트 맹추격

마트·신선식품·간편식 ‘식료품’ 앱 43% 성장

마켓컬리 1년 새 2배 성장...이마트 이어 2위 올라

간편식 상위 5개 앱도 전년比 평균 2.4배 성장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로 모바일 앱을 활용해 식료품을 구매하는 이용자들이 급증하고 있다. 이 가운데 새벽 배송 및 간편식 열풍으로 마켓컬리 같은 ‘신선식품’ 앱이나 CJ더마켓 같은 ‘간편식’ 앱들이 식료품 부분의 절대 강자 ‘마트’ 앱들을 위협하고 있다.




20일 모바일 빅데이터 플랫폼 모바일인덱스가 지난해 1월부터 올해 9월까지 국내 식료품 앱(안드로이드 OS 기준) 사용량을 분석한 결과 마트·신선식품·간편식 전체를 아우르는 ‘식료품’ 업종의 모바일 앱 9월 사용자수(MAU)가 전년 동기 대비 43% 성장한 399만8,684명을 기록했다.

특히 코로나19의 수도권 확산세가 증가한 올해 4월 식료품 앱 MAU는 사상 최대치인 407만4,093명을 기록했고,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였던 올해 9월 들어 다시 400만명에 육박하는 사용자가 식료품을 구매하기 위해 모바일 앱에 방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식료품 앱 시장의 성장세에 대해 신선식품과 간편식 앱들이 1등 공신 역할을 했다고 모바일인덱스 측은 분석했다. 올해 9월 기준 신선식품 앱 사용자 수는 202만949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76% 늘었고, 간편식 앱 사용자 수는 64만7,715명을 기록하며 같은 기간 120% 급증했다. 마트 앱 사용자 수는 214만8,565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 증가했다.

관련기사





전체 식료품 앱 중에서는 마트 앱 ‘이마트몰’이 MAU 123만2,752명을 기록하며 1위에 올랐다. 하지만 새벽배송 전략으로 급부상한 마켓컬리가 2위에 오르며 마트 앱을 위협하는 신흥강자로 떠올랐다. 마켓컬리의 올해 9월 MAU는 119만6,736명으로, 전년 동기(63만8,389명) 대비 2배 가량 증가했다. 이마트몰과의 사용자 수 차이는 3만6,016명에 불과하다. 마켓컬리는 식료품 앱 사용량이 많았던 올해 4월 MAU 122만5,479명을 기록하기도 했다.

이마트몰과 마켓컬리에 이어 홈플러스가 MAU 94만2,014명으로 3위, 롯데마트몰이 48만798명으로 4위, GS프레쉬가 26만9,514명으로 5위에 올랐다.



이밖에 간편식 앱 시장 역시 가파르게 성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간편식 앱 상위 5개 앱 사용자 수가 평균 2.4배 늘어났다. 특히 간편식 업계 1위인 ‘CJ더마켓’의 올해 9월 사용자 수는 21만6,53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대비 2.6배 늘었다. 쿠캣마켓은 같은 기간 2.6배, 한국야쿠르트는 3.2배, 랭킹닭컴은 1.8배 증가했다.

특히 간편식 앱은 주로 2030 세대의 비중이 큰 것으로 집계됐다. 쿠캣마켓의 20대 사용자가 전체의 38% 이상을 차지했고, 랭킹닭컴도 9월 사용자의 34%가 20대인 것으로 분석됐다.


백주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