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판 뉴딜 중 그린뉴딜을 대표하는 해상풍력발전 사업을 놓고 전국 지방자치단체가 연일 속도를 내고 있다. 정부가 오는 2030년까지 12GW 규모의 해상풍력발전단지를 조성하겠다고 목표를 내건 가운데 두 배에 가까운 21GW 규모의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모든 사업이 계획대로 진행되면 투자금액은 100조원을 넘어설 전망이다.
27일 전국 지자체에 따르면 전남과 울산, 인천, 제주 등에서 대형 해상풍력발전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다. 이들 프로젝트의 발전 용량을 합치면 모두 21GW에 달한다. 해상풍력발전에 10㎿급 풍력터빈이 주로 쓰인다는 점을 감안하면 2,000개의 구조물이 해상에 설치되는 셈이다. 부유식 풍력터빈의 경우 물속에 잠기는 부분부터 날개에 이르는 높이가 서울 여의도 63빌딩과 비슷한 250m에 달한다.
현재 해상풍력발전 사업이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곳은 전남이다. 지난해 말 기준 전남에서 풍력발전 허가를 받은 건수는 총 77건 3,715㎿이다. 이중 해상풍력만 신안군 2건, 영광군 6건, 여수시 4건, 순천시·함평군 각 1건씩 총 14건 2,028㎿에 이른다. 여기에 그린뉴딜 정책의 주력 사업으로 신안에 8.2GW 규모의 해상풍력발전단지를 조성할 예정이다. 8.2GW는 서울시민과 인천시민이 1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전기량이다.
전남은 오는 2030년까지 이 사업에 48조원을 투자한다. 올 2월 신안군, 한전, 민간발전사 등 18개 기관과 신안 해상풍력 1단계 컨소시엄을 구성하며 시동을 걸었다. 이어 지난 9월에는 전남도·신안군·신안수협·새어민회 등 4자간 상생협약을 체결하고 주민과 함께 수용성 대책을 협의 중이다.
인천과 제주도 각각 0.6GW의 해상풍력단지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 이들 지역 모두 2023년을 전후해 착공에 나서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어민들과 보상 문제를 협의 중이거나 준비하고 있다. 추정 사업비는 각각 3조원가량이다.
전남 신안과 인천, 제주는 수심이 50m 내외인 연안지역에 해상풍력발전기를 설치한다. 바닥에 하부구조물을 고정하는 방식이다. 반면 울산은 수심 200m 이상의 먼 바다에 해상풍력발전기가 떠 있는 부유식 발전단지를 계획하고 있다. 고정식에 비해 제작비가 더 들지만 어민 수용성이 높은 데다 바람이 세고 일정해 경제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울산은 GIG-토탈 등 5개 기업이 참여하는 컨소시엄을 통해 6GW 해상풍력 발전단지 조성을 계획하고 있다. 2023년 착공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어민들과 보상 문제를 협의하고 있다. 지난 26일부터는 국내외 풍력발전 기업들이 관련 포럼을 개최하며 활발한 투자를 논의하고 있다. 해외에서는 전 세계 풍력발전 시장을 이끄는 GIG-토탈, CIP-SK E&S, 에퀴노르, KF윈드, 셸-코엔스핵시콘(Shell-CoensHexicon) 등이 참여했다.
국내 기업으로는 풍력터빈(두산중공업, 유니슨), 원소재(포스코, KEMP, 인터맥), 하부구조물(현대중공업, 세진중공업, 삼강엠앤티), 케이블(LS전선), 베어링(신라정밀), 설계 및 엔지니어링(에이스 E&T, 동양엔지니어링), 서비스(케이윈드, 헴펠, 니어스랩, 나다) 등이 참가했다.
현재 국내 풍력발전 시장에서는 두산중공업과 유니슨, 효성, 한진산업이 2~3㎿급 중소형 터빈을 주력으로 생산하고 있다. 핵심 부품의 경쟁력은 해외 기업에 비해 취약하지만 하부구조물의 제작과 해상 설치 등은 조선업을 기반으로 최적화돼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송철호 울산시장은 “부유식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사업은 천혜의 자연 및 산업 환경을 갖춘 울산이 세계 최고 수준의 조선해양 기술을 융합시킬 수 있는 최적화된 분야”라며 “국내외 풍력발전 전문기업들이 주도하는 대규모 프로젝트가 체계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울산·신안·인천=장지승·김선덕·장현일기자 jjs@sedaily.com·전국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