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이재명 “난 일본에 적대적이지 않아…한일 서로 무시할 수 없어"

이재명 경기도지사./수원=오승현기자이재명 경기도지사./수원=오승현기자



이재명 경기지사가 일본 언론에 한일 양국은 “공존공영의 길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 지사는 2일자 도쿄신문과의 단독 인터뷰에서 자신이 일본에 “적대적이라고 하는 시각이 있지만 그것은 사실과 다르다. 한일은 밀접한 관계에 있기 때문에 서로 무시할 수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조심성 많고 이웃을 배려하는 일본인의 모습은 훌륭하지만, 일본의 일부 정치인이 군국주의·팽창주의적 사고를 하고 있다”며 정치외교와 경제사회 문제를 구분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한일 양국 간 최대 현안인 징용 피해자 배상 판결 문제에 대해선 “사람이 만든 문제이기 때문에 해결의 길이 있을 것”이라며 서로의 용기와 결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다만 “한국에는 삼권분립 원칙이 있다”며 일본 피고 기업에 배상을 명령한 한국대법원 판결에 정치가 개입할 수 없는 점을 일본 측이 이해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대법원의 징용 소송 판결과 관련한 사실상의 보복 조치로 일본 정부가 지난해 7월부터 반도체·디스플레이 핵심 소재의 한국 수출을 규제한 것에 대해서는 “(한국 기업에) 일부 고통을 주는 효과가 있었지만 일본 기업도 손해를 봤다”고 말했다. 그는 “경기도에 진출하고 싶은 일본 기업이 있으면 정치적 이유로 막는 일 없이 받아들였다. 한국의 고용과 경제도 활성화되기 때문”이라며 한일 양국은 함께 이기는 ‘윈윈’의 길을 찾아 관계개선으로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체한 남북 관계와 관련해선 유럽의 경제·평화·안보 공동체 같은 동북아 전체의 공동체를 지향해야 한다는 구상을 밝혔다. 그는 “남북한과 일본, 미국, 중국, 러시아가 적대하지 않고 서로 돕는 공동체를 만드는 것이 모두의 이익이 되지 않겠는가”라며 비핵화 협상에서 한국 정부가 인내심을 갖고 북·미가 합의할 수 있도록 신중하게 지원을 계속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으로 한국경제가 침체가 빠지고 빈부격차가 커지는 문제에 대해선 “소비를 진작시켜 경제를 살려야 한다”며 가처분 소득을 늘리는 정책을 통해 기본소득제를 해결 방안으로 제시했다. 그는 “재정지출로 소비에 필요한 돈을 늘려 수요를 창출하면 경제에 선순환이 나타난다”며 “증세가 필요하게 되지만 자신이 낸 세금이 돌아온다는 확신을 갖게 한다면 해결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차기 대선의 유력한 주자로 자신이 거론되는 것과 관련해선 “대선까지 약 1년 반이나 남았다. 정치계에선 매우 긴 시간이다”라고 했다. 또 “민심은 한순간에 변한다”며 “(차기 대선 때까지) 민심을 잡는 노력을 하기보다는 공직자로서 일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연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