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여가부 장관, 박원순·오거돈 재보선 “ 성인지 학습기회”…野 “제정신 아냐” 비판

예결위 종합정책질의에서 답변 논란

박원순·오거돈 성추행 사퇴로 선거

혈세 838억 원 비용·2차 가해 묻자

이정옥 “국가 위해 긍정적 요소 찾아”

野 “학습? 성추문이라도 당부할 판”

정의당도 “온전한 정신인가” 지적

이정옥 여성가족부 장관이 5일 국회에서 열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연합뉴스이정옥 여성가족부 장관이 5일 국회에서 열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연합뉴스



야권이 이정옥 여성가족부 장관의 사퇴를 촉구하고 나섰다. 이 장관이 고(故) 박원순 전 서울시장과 오거돈 전 부산시장의 성추행 의혹으로 치러지는 내년 보궐선거에 대해 “국민 전체가 성 인지성을 집단학습할 기회”라고 언급한 데 대해 “말문이 막힌다”며 일제히 사퇴를 요구했다.

이 장관은 5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종합정책질의에 참석해 윤주경 의원이 “선거에 838억원이 사용되는데 피해자나 여성에게 미칠 영향을 생각해봤느냐”고 묻자 “큰 예산이 소요되는 사건을 통해 국민 전체가 성 인지성에 대한 집단학습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역으로 된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야당 의원들은 성토했다. 윤 의원이 바로 “학습비라고 생각하느냐. 진정 문재인 대통령이 임명한 대한민국 여가부 장관이 맞느냐”고 되묻자 이 장관은 “어떤 상황에서도 국가를 위해 긍정적인 요소를 찾아내려고 노력해야 한다”고 답했다.


이 장관은 박 전 시장과 오 전 시장의 권력형 성범죄에 대해서도 “예단해선 안 된다”는 입장을 보였다. 윤 의원이 “전형적인 권력형 성범죄가 아니냐”고 묻자 이 장관은 “수사 중인 사건에 죄명을 명시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말했다.



되레 이 장관은 야권이 이 문제를 들춰낼수록 2차 가해가 될 수 있다는 발언도 했다. 이 장관은 “성평등 문제나 성폭력 피해 문제가 과잉 정쟁화되면 피해자에게 2차 피해가 될 수 있다”며 “특히 서울시 피해자가 과잉 정쟁에 휘말리지 않고 직장에 복귀해 정년까지 안심하고 마칠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협력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5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 회의에 참석, 발언하고 있다./연합뉴스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5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 회의에 참석, 발언하고 있다./연합뉴스


이 장관의 발언이 전해지나 야권은 사퇴를 촉구했다. 재보궐선거의 원인을 제공하면 후보를 공천하지 않기로 당헌을 개정했던 여당이 다시 당헌을 고쳐 후보를 내기로 한 데 이어 여성 정책을 주관하는 정부부처 장관마저 피해여성이 아닌 정부·여당의 입장만 대변하고 있다는 것이다. 황규환 국민의힘 부대변인은 논평을 내고 “여성가족부의 존재 이유를 되묻게 하는 발언”이라며 “이 장관도 ‘n차 가해자’나 다름없다. 스스로 자리에서 물러나야 한다”고 말했다.

안혜진 국민의당 대변인도 “황당하기 그지없는 발언에 말문이 막힌다”며 “국민의 성인지 수준을 향상하기 위해서라도 적극적인 성추행 및 성추문을 일삼아 주길 당부라도 해야 할 판”이라고 비판했다. 또 “여가부가 정권에 결탁한 단체들에 국민의 혈세를 줄줄 새어나가게 하는 일에 앞장서느라 본연의 업무엔 관심이 없다. 존속시켜 국민 혈세를 낭비하느니 차라리 해체가 답”이라고 말했다.

정의당도 비판에 가세했다. 정호진 수석대변인은 “온전한 정신을 갖고서는 도저히 할 말이 아니다. 이번 보궐선거는 위계에 의한 권력형 성범죄로 인해 치르게 된 것”이라며 “본질은 외면한 채 궤변으로 두둔하겠다는 것인가”라고 꼬집었다.


구경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