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한은 “코로나에 물가 떨어져도 전월세·관리비는 영향 없어”

근원인플레이션 기여도 4월 -0.3%p까지 떨어져

한국은행 앞 /연합뉴스한국은행 앞 /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일부 민감한 품목에 대한 수요 충격으로 이어지면서 근원물가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코로나19 전개 양상에 따라 물가 영향이 달라질 수 있는 만큼 영향을 지속적으로 점검해야 한다는 분석이다.

10일 한국은행 조사국 물가동향팀 박상우 과장, 강달현 조사역, 남현우 조사역은 ‘코로나19가 물가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발표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근원물가 상승률이 올해 1~2월 0%대 중후반 수준을 보이다가 코로나19 발생 이후 0%대 초반으로 하락한 만큼 코로나19가 물가에 미친 영향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코로나19는 부정적 수요충격으로 작용하면서 근원물가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코로나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민감물가가 영향을 받았다는 분석이다. 코로나 수요민감 상품으로는 의류, 신발, 가방, 핸드백 등이 있고 서비스로는 음식서비스, 호텔숙박료, 국제항공료 등이 꼽혔다. 코로나 비민감 상품으로는 의약품, 담배, 상수도료 등이 있고 서비스로는 전·월세, 하수도료, 공동주택관리비, 우편료, 금융수수료 등이 꼽혔다.

관련기사



근원인플레이션에 대한 기여도를 살펴보면 코로나 민감물가는 1~2월 각각 0.5%포인트, 0.2%포인트를 기록한 뒤 코로나19 사태 이후인 4월에는 -0.3%포인트까지 떨어지는 모습을 보였다.

박상우 과장은 “수요민감물가가 코로나19 물가에 대한 영향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코로나19의 물가에 대한 영향이 달라질 수 있는 만큼 수요민감물가를 활용하여 코로나19가 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지속적으로 점검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조지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