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코로나 백신도 미중 패권전쟁?...자국 백신 홍보 열 올리는 中

"시노팜 접종한 5만 6,000여 명 감염자 없어"

"중국산 백신 의심, 화이자 백신 환영 이중 잣대"

/로이터연합뉴스/로이터연합뉴스



미국 제약회사인 화이자가 자체 개발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의 효과가 90% 이상이라고 발표한 가운데 중국이 자국산 백신 홍보에 열을 올리고 있다.

11일 관영 매체 글로벌 타임스에 따르면 시노팜이 개발한 불활성화 백신은 멕시코의 접종 사례에서 100% 유효성을 보였다고 중국 전문가들이 주장했다. 중국 전문가들은 시노팜이 개발한 백신의 유효성이 100%라고 주장하면서 화이자 백신보다 효과가 뛰어나다는 점을 강조했다. 글로벌 타임스는 “화이자의 발표는 전 세계의 주목을 받고 많은 언론이 열광적으로 보도했지만, 5만6천여명의 중국 해외 여행자들에게 사용돼 온 시노팜의 백신은 자료가 공개되자 많은 서방 언론의 의심과 도전을 받았다”며 “이렇게 상반된 반응은 백신 문제를 정치화하기 위한 것으로 서방 언론이 백신에 대해 이중 잣대를 들이댄 것”이라고 지적했다.


신문은 중국 통신장비업체 화웨이(華爲) 멕시코 지사 사례를 언급하면서 “이 지사 직원 99명 중 81명이 백신을 접종했다”면서 “이후에 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10명의 직원만 코로나19에 감염됐다”고 소개했다. 타오리나 중국 백신 전문가는 글로벌 타임스와 인터뷰에서 “멕시코 사례만으로도 시노팜의 백신은 100% 효능을 보여 백신 후보로서 평가를 받아야 한다”면서 “화이자의 90% 효능 사례는 임상 3상 시험을 바탕으로 했지만, 시노팜은 응급 사용 후 관찰을 바탕으로 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타오리나는 이어 “화이자의 사례가 학문적으로 더 큰 권한을 갖고 있지만, 후자 역시 통제 연구에 해당한다”면서 “시노팜의 백신을 접종한 5만6천여명이 감염되지 않았다는 사실은 백신 효능의 참고 자료로 적용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그는 또 “중국 역시 화이자가 적용한 핵산(mRNA) 백신을 개발하고 있다”면서 “이론적으로 핵산 백신은 세포 면역과 항체 면역 모두를 자극할 수 있어 단순한 항체보다 효과가 좋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중국이 개발하는 불활성화 백신은 장기적 안정성을 위해 영하 70도에서 보관돼야 하는 핵산 백신보다 운반과 보관에 장점이 있다”며 “중국이 개발한 백신이 더 많은 사람을 보호하는 데 사용하기 적합하다”고 덧붙였다.

화이자는 독일 바이오엔텍과 아스트라제네카는 영국 옥스퍼드대와 공동 개발하고 있다. 코로나19 백신의 기반 기술별로는 핵산 백신, 합성 항원 백신, 전달체 백신, 불활성화 백신이 있다. 핵산 백신은 바이러스의 DNA, RNA 등 핵산을 체내에 주입하는 방식이다.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이 여기에 해당하고, 중국에서 개발한 세 가지 백신은 모두 불활성화 백신이다.

/장덕진 인턴기자 jdj1324@sedaily.com

장덕진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