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그린 뉴딜 이끌 ‘UNIST 해수자원화기술 연구센터’ 14일 준공

해수전지 양산 위한 제조·평가 설비 구축 … 상용화 잰걸음

울산시 울주군에 위치한 울산과학기술원. /사진=UNIST울산시 울주군에 위치한 울산과학기술원. /사진=UNIST



울산의 그린 뉴딜을 이끌 해수자원화기술 연구센터가 14일 문을 연다. 해수자원화기술은 울산과학기술원(UNIST)이 세계 유일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울산시는 14일 오전 UNIST에서 정세균 국무총리, 송철호 울산시장, 이용훈 울산과학기술원 총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해수자원화기술 연구센터 준공식’을 연다고 밝혔다.

해수자원화기술 연구센터는 총사업비 184억원이 투입돼 UNIST 내 연면적 5,443㎡ 지하 1층, 지상 5층 규모로 지난 2019년 3월 착공됐다.


연구센터는 친환경 에너지저장장치인 ‘해수전지’를 집중 연구한다. 바닷물 속 소듐(나트륨) 이온을 선택적으로 투과시켜 전기를 저장하는 장치인 해수전지는 친환경적이며 경제적인 이차전지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에너지 저장 장치로서의 해수전지는 물론, 해수전지를 활용한 부가기능에 대한 연구도 진행된다. 연구센터는 충·방전 과정에서 해수담수화, 살균, 수소 생산 및 이산화탄소 포집 등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했으며, 이를 활용해 실생활에 유용하게 사용될 제품 개발에도 힘을 쏟고 있다.

관련기사



그동안 한국전력공사, 한국동서발전,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등의 지원을 받아 해수전지 상용화를 위한 연구를 꾸준히 진행해왔다. 올해 5월에는 산업통상자원부의 ‘지역 활력 프로젝트 사업’에 선정돼 울산 지역 업체들과 해수전지를 적용한 어구용 부이, 등부표 등 제품 제작 및 실증 사업도 진행하고 있다.

울산은 전기차,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이차전지 산업이 반도체를 넘어설 고성장 신산업 분야로 보고 울산 신 주력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적극 노력하고 있다. 차세대전지연구개발센터, UNIST-헬름홀츠 율리히 미래에너지 센터, 사용배터리 재사용 센터 등 전주기 지원을 위한 연구기반을 구축하고 산학연관 협력을 통해 이차전지 분야 다양한 기술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내년부터 UNIST를 중심으로 추진하는 강소연구개발 특구를 미래형 전지밸리로 조성해 전지분야 대·중·소기업 상생형 혁신생태계를 구축하고 집중 육성할 계획이다.

이용훈 UNIST 총장은 “산업수도 울산은 최근 그린 뉴딜과 디지털 뉴딜을 통해 산업과 기술의 한 단계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며 “해수자원화기술 연구센터가 우수한 연구개발과 인력양성을 통해 울산이 신에너지 선도도시로 도약하는데 큰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기대한다”고 밝혔다.

송철호 시장은 “해수전지, 이차전지 등 미래형 전지 산업은 울산의 그린 뉴딜을 이끌어갈 중심 산업이 될 것”이라며 “해수자원화기술 연구센터가 친환경 미래로 향하는 여정의 중요한 거점이 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울산=장지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