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코로나 백신 선제 확보보다 안전성이 더 중요"

김강립 식약처장 기자간담

"부작용 등 철저한 검증 필요

접종계획 1차초안 연내 마련"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1등으로 따내기 보다 안전한 백신을 확보하는 데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습니다.”

김강립(사진)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은 16일 기자들과 만나 ”안전성 양보는 절대 있을 수 없다”면서 “최고의 팀을 구성해 최단 시간 내 안전성 검사를 마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김 처장은 “정부는 백신 확보를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하지만 달리기나 올림픽 경기를 하듯 1등으로 구매하는 것은 목표가 아니다”라며 “몇 년 뒤 나타나는 부작용까지 고려해야 하고 효과가 얼마나 지속될 지, 한 번 접종으로 될지 등을 종합적으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백신 임상에 보통 8∼9년이 걸리는데 지금은 1∼2년 안에 진행하는 등 신속하게 개발되고 있어 규제 당국으로선 제한된 여건에서 안전성 검증을 해야 해 부담이 클 수밖에 없지만, 식약처가 믿을 만한 제품을 사용하는 데 ‘걸림돌’이 되는 것은 고사하고 ‘촉진자’ 역할을 해야 한다는 생각은 분명하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해외에서 개발 중인 백신들이 언제쯤 국내에 도입될까. 그는 “코로나19 백신과 관련한 접종계획 1차 초안을 이르면 연내에 마련할 계획”이라며 “초저온 운반이 필요하기 때문에 외국서 운반되는 과정, 국내 유통, 의료기관 보관을 비롯해 제품의 짧은 보존기간까지 고려해 공급과 소비가 이뤄질 수 있도록 (범부처) TF(태스크포스)에서 고민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 신임 처장은 보건복지부 차관에서 식약처장으로 임명되면서 전문성 논란에 휩싸였었다. 제법 속상했을 법도 하지만 그는 오히려 담담하게 “상당히 타당한 우려”라고 답했다. 다만 김 신임 처장은 “식약처는 전문성을 기반으로 규제를 통해 신뢰를 확보하는 기관으로 저는 보건행정분야에서 오래 일했지만 과학적 전문가는 아니다”라며 “다만 식약처에는 많은 전문가가 있고 처장이 해야 할 일은 분석, 실험 등이 아니라 이 같은 과학적 증거를 기반으로 제도를 만드는 일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현재의 보건의료 위기극복은 물론 식약처의 미래를 위해 부처 간 소통이 가장 중요하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김 처장은 “식약처와 질병청이 협업해야 할 과제가 많은 만큼 잘 소통하고 복지부 관련 부처 및 산하기관과 긴밀하게 협조해 불안감 없는 미래를 앞당길 것”이라고 말했다.


서지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