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금융 정책

37조원 투입해 2030년까지 전국 스마트항만 구축

해수부, 2030 항만정책 방향과 추진전략 발표

37조원 투입해 일자리 55만개 창출 계획

광양항 중심으로 항만 자동화 기술 개발

부산 2신항은 진해신항으로 명칭 확정

서해 끝단 격렬비열도, 국가관리 연안항 지정

16일 부산항 감만부두에서 컨테이너선이 화물을 선적하고 있다./연합뉴스16일 부산항 감만부두에서 컨테이너선이 화물을 선적하고 있다./연합뉴스



해양수산부가 2030년까지 항만 자동화·디지털화를 통해 전국에 스마트항만을 구축하기로 했다. 부산항 제2신항은 진해신항으로 이름을 정하고 3만TEU(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개)급 초대형 선박이 접안할 수 있는 대형 항만으로, 광양항은 배후부지를 확충해 스마트 복합 항만으로 육성하는 등 항만별 특화 개발 계획도 내놓았다.


해수부는 17일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열린 국무회의에서 전국 항만의 중장기 비전과 개발계획을 담은 ‘2030 항만정책 방향과 추진전략’을 보고했다고 밝혔다. 해수부는 37조원을 투입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고부가가치 디지털 항만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항만투자에 따른 일자리 창출효과는 54만명으로 추산했다.

먼저 항만 자동화·디지털화를 추진하기 위해 2026년까지 광양항에 5,940억원을 투입해 항만자동화 테스드베드를 구축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국산화 기술 개발과 운영 경험을 쌓은 뒤 부산항 제2신항에 기술을 도입해 2030년부터 본격적으로 한국형 스마트 항만을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권역별로 특화된 항만개발 전략도 마련했다. 2022년 착공 예정인 부산항 제2신항은 3만TEU급 초대형 선박이 접안할 수 있도록 개발해 동북아 물류 중심으로 확고히 자리잡게 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지역 건의를 수용해 명칭을 ‘진해신항’으로 확정했다. 광양항은 배후산업과 연계해 산업 활성화, 물동량 창출, 항만개발로 이어지는 선순환 체계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관련기사



인천·서해권은 대중국 화물처리를 위한 물류거점항만으로 육성한다. 인천항은 상품·소비 중심의 수도권 전용 중심항만으로 개발하기 위해 컨테이너 부두를 3선석 확충하는 동시에 인천신항 진입도로를 지하차도로 조성해 물류비 절감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평택·당진항은 자동차·잡화 등 수도권 산업지원항만, 목포항은 서남권 지역 산업거점항만, 제주항은 여객·크루즈 관광 중심항으로 각각 육성한다. 새만금항만은 2022년 잡화부두 2선석을 착공해 2025년 완공할 예정이다.

지역과의 상생도 추진하기로 했다. 부산·울산·광양에 액화천연가스(LNG) 벙커링 터미널을 만들고, 부산·평택·당진항에 수리조선소를 개발하기로 했다. 인천항에는 전자상거래 특화구역이 조성된다. 이를 통해 항만의 서비스를 다양화하고 지역 일자리도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해양영토 관리와 불법 어업단속을 강화하기 위해 전국 11개 국가관리 연안항을 추진하기 위해 개발계획을 정비했다. 특히 우리나라 중서부 해역 최끝단 도서인 격렬비열도를 국가관리 연안항으로 지정하고 해경부두, 어업관리선 부두를 확충시켜 중서부 해역에 대한 영토수호 기능을 강화한다.

문성혁 해수부 장관은 “이번 ‘2030 항만정책 방향과 추진전략’에 따라 향후 10년간 항만 개발을 차질 없이 추진해 국제환경의 변화 속에서 항만물류 선진국으로 발돋움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디지털 항만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조지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