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보수·진보 다른 이유, 뇌기능 차이에 있었다"

권준수 서울대교수 연구팀 첫 확인

"정치성향 따라 뇌연결망 달라

자기조절능력·회복탄력성서

보수가 진보보다 5배나 높아

서울대 뇌인지과학과의 권준수(왼쪽) 교수와 김택완 연구원.서울대 뇌인지과학과의 권준수(왼쪽) 교수와 김택완 연구원.



서울대 연구팀이 진보·중도·보수 정치이념 성향에 따라 뇌 기능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권준수 서울대 뇌인지과학과 교수팀은 서울대병원과 함께 성인 106명의 정치 성향과 뇌 기능 네트워크를 분석, 뇌 연결망 차이를 확인했다고 17일 밝혔다.


연구팀은 우선 106명을 설문 조사해 보수·중도·진보 성향 그룹으로 나눈 뒤 뇌 기능을 살폈다. 그 결과 심리적 스트레스를 조절하는 뇌 영역들 사이의 신호전달 체계가 정치 성향에 따라 달리 나타났다. 보수 성향은 자기조절능력이나 회복탄력성과 관련된 뇌의 연결성이 진보 성향보다 약 5배 높았다. 보수 성향 뇌의 심리적 안정성이 진보 성향보다 높았다는 뜻이다.

관련기사



진보와 보수 성향을 가진 사람들에게서 뇌의 활성화 정도에 차이가 있다는 것은 해외 연구에서도 밝혀진 바 있다. 영국 엑서터대와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UCSD) 연구팀은 미국 민주당원과 공화당원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보수인 공화당원들에게서 위험이 동반된 의사결정을 하는 경우 편도가 과활성화되고 섬피질 활성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 위험 자극에 보수성향 사람의 뇌가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의미다.

하지만 이번에 권 교수팀은 뇌의 전체적인 기능적 연결성을 연구해 휴지기 상태의 뇌에서 진보와 보수의 차이를 처음 관찰했다. 정치 성향에 따라 뇌의 기능적 연결망이 다르게 설계돼 있다는 것을 확인한 것이다. 권 교수는 “정치적 입장에 따라 뇌의 차이가 있다”며 “다만 정치 성향에 따라 뇌 기능의 차이가 생긴 것인지, 뇌 기능 차이로 정치 성향이 달라진 것인지는 알 수 없다”고 설명했다. 김택완 연구원(서울대 뇌인지과학과·1저자)은 “정치적 성향에 따른 ‘생각의 기반’이 다름을 안다면 다른 성향의 사람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리포츠’ 최신호에 실렸다.
/고광본 선임기자 kbgo@sedaily.com

고광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