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로터리]디지털 팬데믹

민원기 한국뉴욕주립대 총장




최근 세계 각국의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일일 확진자 수가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코로나19의 3차 대유행에 대한 위험이 실제화되고 있다. 코로나19의 재확산에 따른 경제 위축에 대한 우려도 갈수록 커지고 있다.

코로나19는 실업과 중소 자영업자의 폐업 등 경제 전반에 엄청난 충격을 미치고 있으며, 우리의 생활 방식도 바꾸어 놓고 있다. 이러한 코로나19 환경에서 세계 경제 및 일상생활을 지탱해 주는 버팀목 역할을 디지털 기술과 이에 기반한 플랫폼 경제가 담당하고 있다. 정부·기업·학교의 핵심 기능이 화상회의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고 있고, 소비자들은 전자상거래를 통해 물건과 서비스를 구입하고 있다. 또 은행, 증권사의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금융거래가 이뤄지면서 기존 오프라인에서 이뤄지던 많은 기능들이 온라인으로 빠른 속도로 이동하고 있다. 세계경제포럼(WEF) 의장인 클라우스 슈밥(Klaus Schwab)은 최근 저서 ‘코비드19: 그레이트 리셋(COVID 19: The Great Reset)’에서 코로나19가 지나간 후에도 디지털 경제의 확산은 더욱 빠른 속도로 진행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디지털 경제를 가능케 하는 디지털정보 시스템이 코로나19와 같은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에 빠지게 되면 우리의 삶은 어떻게 될까. 화상회의 시스템이 마비되고, 전자상거래, 온라인 증권거래가 불가능해진다면, 그리고 우리의 소셜미디어 개정이 작동하지 않는 다면 우리의 삶은 어떻게 될까. 우리는 과거 사이버 공격으로 2011년 ‘농협 전산망 마비 사태’와 2013년 ‘3.20 전산 대란’ 등을 경험한 바 있다. 세계적으로도 2017년 악성코드인 ‘워너크라이’ ‘낫페트야’ 등의 사이버 공격으로 막대한 사회·경제적 피해를 입은 적도 있다.

관련기사



세계의 석학들은 코로나19가 예상치 못한 ‘블랙스완’ 사건이 아니라 통제되지 않은 도시화 및 자연 파괴에 따라 예상 가능했던 ‘화이트 스완’ 사건이라고 말하고 있다. 많은 전문가들이 현재 정보시스템의 보안 취약성을 지적하면서 정보통신시스템의 보안성 제고를 위한 과감한 대규모 투자와 사회 전반의 정보 보안의식 강화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앞으로 대규모 정보시스템 마비라는 ‘디지털 팬데믹’ 상황이 올 수도 있음을 경고하고 있다.

우리 정부는 내년도 정보보호 예산을 올해 보다 531억 원 늘어난 2,394억 원으로 편성해 국회에 제출했다. 하지만 포스트 팬데믹 시대에서 정보시스템의 중요성을 고려하면 더 과감한 투자가 요청된다. 민간부문에서도 온라인 서비스의 확대에 발 맞추어 획기적인 정보보안 투자 확대가 이뤄져야 한다. 우리나라가 코로나 방역의 모범국으로 인정받는 것처럼, 디지털 보안에서도 세계 최고 수준의 국가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