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정부 대책 안 믿는다"... '영끌'에 3분기 가계 빚 45조원 폭증

3분기 가계신용 1,682조원…3개월 만에 44.9조원↑

영끌·빚투에 신용대출은 22.1조원 폭증…역대 최대

한 시중은행 대출창구의 모습. /연합뉴스한 시중은행 대출창구의 모습. /연합뉴스



정부의 가계대출 규제에도 가계 빚 규모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가격이 급등하자 주택 관련 수요가 늘면서 주택담보대출에 신용대출까지 끌어다 쓴 것이다. 이른바 ‘빚투(빚내서 투자한다)’에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은다)’ 등으로 가계신용이 과도하게 불어나면서 금융불균형이 발생할 위험도 함께 커졌다.

2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가계신용(잠정) 통계에 따르면 올해 3·4분기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682조1,000억원으로 전분기 말 대비 44조9,000억원 증가했다. 전분기(25조8,000억원)와 전년 동기(15조8,000억원) 대비 모두 증가 폭이 확대됐다. 가계신용은 은행·보험사·대부업체·공적 금융기관 등 금융기관에서 받은 대출에 결제 전 카드 사용금액(판매신용)까지 포함한 포괄적인 가계부채를 의미한다.


전분기 대비 가계신용 증가 규모는 2016년 4·4분기(46조1,000억원) 이후 역대 두 번째도 많은 수준이다. 송재창 한은 금융통계팀장은 “올해 3·4분기와 2016년 4·4분기는 주택 매매와 전세 거래가 활발했다는 공통점이 있다”며 “다만 당시에는 주택담보대출 규제가 완화되는 모습이었지만 지금은 정부가 가계대출을 규제한다는데 차이가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가계신용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가계대출 잔액은 1,585조5,000억원으로 전분기말 대비 39조5,000억원 증가했다. 지난 2·4분기 증가 규모 24조2,000억원보다 큰 폭 확대됐다. 주택담보대출이 890조4,000억원으로 전분기말 대비 17조4,000억원 늘어났다. 주담대 역시 2016년 4·4분기 24조2,000억원 이후 최대 규모다.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은 695조2,000억원으로 전분기말 대비 22조1,000억원 늘어나면서 2003년 통계를 편제한 이후 가장 큰 증가 폭을 기록했다. 지난해 연간 증가 폭(23조1,000억원)에 육박할 뿐 아니라 주담대보다 더 많이 늘어났다. 한은은 주택자금에 주식자금 수요가 늘어난 데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생활자금 수요까지 겹친 영향으로 보고 있다.

판매신용 잔액은 96조6,000억원으로 전분기말 대비 5조4,000억원 증가했다.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온라인 구매가 늘었고, 추석연휴에 따른 결제 이연 등으로 여신전문회사를 중심으로 늘었다는 설명이다.


조지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