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중기·벤처

'극단적 선택' 청년 10명 중 3명은 실직자

중기중앙회·자살예방協 보고서

일부는 1년이상 장기 실업 상태

"청년이 원하는 일자리 만들어야"

사진제공=중기중앙회사진제공=중기중앙회



극단적 선택에 이른 청년 가운데 10명 중 3명꼴로 실업 상태였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실업과 극단적 선택의 상관관계가 있는 만큼 청년의 중소기업 취업을 확대하려는 노력이 더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일 중소기업중앙회와 한국자살예방협회가 발표한 ‘중소기업 일자리 편견과 청년 자살 예방’ 보고서에 따르면 2016~2019년 극단적 선택을 한 청년(20~30대) 173명 가운데 32.9%(57명)는 실업상태였다. 사망자 유족과 전문가 면담을 통해 57명의 직장 내 스트레스 사건(복수응답)을 조사한 결과 57.4%(27명)는 퇴직, 해고를 포함한 실업으로 답변율이 가장 높았다. 이 가운데 13명은 1년 이상 장기 실업상태였다. 보고서는 “6개월에서 1년 이상 장기실업 상태인 경우 극단적 선택과 연관되는 정도의 심한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다”며 “우리나라의 고용 불안정과 청년 자살률 상관관계는 다른 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보다 강하다는 조사 결과도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청년 실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소기업 일자리에 대한 인식 제고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중소기업은 청년 구직 수요를 만족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기중앙회가 7월 만 20세 이상 1,000명을 대상으로 중소기업 일자리 호감도 조사를 한 결과 중소기업 종합인식도는 100점 만점에 52.6점으로 대기업(75.5점)의 69.7%에 머물렀다. 기선완 자살예방협회장은 “중소기업 일자리 인식개선을 통해 청년이 ‘원하는 일자리’를 만들면, 극단적 선택의 주요 원인인 실업난을 완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중기중앙회는 내년부터 우수 중소기업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선보인다.


양종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