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기억력이 예전같지 않아" 생각된다면…치매 위험 높다

인지기능 정상이라도 치매 위험…우울증 동반땐 더 높아

분당서울대병원, 66세 생애전환기 검진 58만여명 분석

/이미지투데이/이미지투데이



인지기능 검사 결과가 정상이더라도 환자 스스로 기억력이 떨어진다고 느낀다면 치매 위험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기억력이 떨어지고 우울하다고도 느끼는 경우 치매 발생 위험이 일반인보다 50% 높았다.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명우재 교수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66세 생애전환기 건강검진 결과를 바탕으로 ‘주관적 인지기능 저하’와 치매의 상관관계를 조사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2일 밝혔다. 2009~2011년 건강검진을 받은 57만9,710명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다.

환자 스스로가 기억력이 떨어졌다고 생각하지만 인지기능 검사에서는 정상 범주인 경우를 ‘주관적 인지기능 저하’라고 한다. 수면 부족 등 신체적 요인과 우울증 같은 심리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연스러운 기억력 감퇴나 사소한 건망증에 대해 환자가 지나치게 의식하는 상황으로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다.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명우재 교수./분당서울대병원 제공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명우재 교수./분당서울대병원 제공


그러나 이번 연구에서 주관적 인지기능 저하와 치매 위험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66세에서 주관적 인지기능 저하 환자의 치매 위험은 일반인보다 38% 높았다. 특히 우울 증상이 동반되는 경우 위험도가 50%까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인지능력 저하를 심하게 느낄수록 치매 위험도 같이 상승했다. 이는 주관적 인지기능 저하가 단순히 환자의 개인적 느낌이 아니라 실제로도 치매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관련기사



명 교수는 “이 결과는 기억력이 떨어진다고 느끼는 사람이 우울 증상을 함께 느낀다면 치매 조기 검진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알츠하이머 연구와 치료’(Alzheimer‘s Research & Therapy)에 게재됐다.

/지웅배 인턴기자 sedation@sedaily.com

지웅배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