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현정택의 세상보기] 코로나 이후 수능도 변해야 한다

정석인하학원 이사장

경쟁력 큰 창의적 인재 키우려면

정형화된 시험·성적 평가 바꾸고

기회균형 등 특별선발도 늘려야

현정택 정석인하학원 이사장,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현정택 정석인하학원 이사장,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



3일은 대학 입학을 위한 수능 시험날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학교 수업 일정 차질 등을 고려해 예년 11월에 치르던 시험을 12월 초로 미뤘지만, 겨울 들어 다시 번진 감염 사태로 이마저 지켜질까 조마조마했는데 치를 수 있게 돼 다행이다. 시험을 주관하는 교육부와 학교 및 감독관 모두 끝까지 차질이 없도록 주의를 기울이고 코로나19 경계와 성적 발휘를 함께 신경 써야 하는 수험생들은 최선을 다하기 바란다.

세계 각국도 올해 유행한 코로나19로 대학 입시에 큰 혼란을 겪었다. 프랑스는 200년 전통의 대학 입학 자격시험인 바칼로레아를 취소하고 수행평가로 대체했으며 브라질도 600만 명이 응시하는 국가 대입 자격시험 ENEM을 지난 11월에서 내년 1월로 연기한 상태다. 미국·독일 등에서도 대학 입학과 관련해 치러지던 시험들이 축소 또는 연기됐다. 수험생이 1,000만 명 넘는 세계 최대의 대입 수능이라고 할 수 있는 중국 가오카오(高考)는 원래보다 한 달 넘긴 7월 큰 탈 없이 마쳤는데 코로나19를 초기에 진화한 덕을 봤다.

수능으로 대표되는 한국의 대학 입시는 유별나다. 대학 입학 그 자체가 인생 성패를 결정하는 일로 인식되기 때문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달 29일 직접 수험생 시험장을 방문해 준비 상태를 점검했는데, 3년 전에는 포항 지진으로 전국 수능을 1주일 미룬 적도 있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수능이 우리 사회에서 기회의 공정성을 상징하는 시험으로 ‘국가적 대사(大事)’라고도 했다.


대학 입시란 대학교가 가르치는 학생들을 선발하는 일이다. 당연히 대학이 그 책임을 맡아야 한다. 우리와 같이 사립대학이 대학 교육의 큰 주축을 맡은 미국에서는 대부분 대학이 자율적으로 선발 방식을 정하며 우리가 초기에 모방했던 일본도 대학의 결정권을 확대하고 있다. 고교생 국제 경시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보였던 한국 학생들이 대학에 들어간 후 경쟁력이 떨어지는 중요한 이유의 하나가 대학의 자율성이 낮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공정성을 강조한 결과 채점하기 편한 정형화된 답안을 요구하는 수능 시험 및 고교 성적 평가도 고쳐야 한다. 중국의 가오카오는 지역별 차이와 작문형이 포함돼 있으며, 프랑스의 바칼로레아는 한 가지 주제에 대한 몇 시간짜리 장문의 창의적인 에세이를 쓰는 시험이다. 우리나라처럼 논술 학원에서 배운 요령으로는 치를 수 없다.

대학 입학시험이 어려우면 저소득층이 불리해진다는 우려가 있다. 이와 관련, 우리 입시 제도를 관통해왔던 목표는 사교육에 의한 격차 축소였다. 교육의 빈부 격차 축소는 선진국에서도 중요한 목표로 삼는데 문제는 정답이 없다는 점이다. 영국의 주간 이코노미스트지에 따르면 가난한 사람들을 돕기 위해 프랑스는 고교 성적 비중을 늘렸는데 영국은 그 반대로 최종 시험 비중을 확대했다. 우리나라에서도 노무현 정부 때는 고교 학생부 종합 전형을, 현 정부에서는 수능 비중을 높이고 있다. 출제나 채점 비중을 바꾸기보다 특별 선발을 통해 해결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예컨대 서울대는 오는 2022학년도에 지역 균형과 기회 균형 등 선발을 통해 정원의 25% 정도인 852명을 뽑는다.

올해 수능 응시생은 49만 명으로 전문대를 포함한 대학 입학 정원 55만 명을 밑도는 수준이다. 4차 산업 혁명 시대로 접어든 지금 대학이 길러내야 할 사람은 국가가 정한 모범 답안을 달달 외우는 사람이 아니라 창의적인 인재다. 코로나19 이후 시대의 인재 수요에 맞춰 입시가 아니라 교육의 내용에 더 신경을 쓰는 교육정책을 펼쳐야 할 때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