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뒷북 방역...골든타임 놓쳤다

거리두기 1단계 완화 6주만에

서울 하루 확진자 13배나 늘어

서둘러 역학조사 강화 나섰지만

"그것마저도 늦어" 지적 잇따라




정부가 방역 대책의 타이밍을 잇달아 놓치면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3차 대유행이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신규 확진자 수 등에서 이미 지난달에 사회적 거리 두기 2.5단계 상향 기준을 충족했지만 정부는 2주나 지난 후인 이달 6일 거리 두기 단계 격상을 발표했다. 게다가 사실상 한 지역으로 분류되는 수도권(서울·경기·인천)의 거리 두기 2.5단계 상향 시점을 서울시(5일)보다 3일 늦은 8일로 잡아 실효성 논란도 일고 있다. 정부는 확산세가 잡히지 않자 서둘러 역학조사를 강화하기로 했지만 이마저도 ‘골든 타임’을 놓친 뒷북 대응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7일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는 615명으로 이틀 연속 600명대를 이어갔다. 이 중 수도권 확진자가 422명으로 수도권은 닷새 연속 400명대를 기록했다. 특히 지난달 29일부터 이달 5일 사이 서울의 하루 평균 신규 확진자 수는 221.9명으로 최근 6주간 무려 13배나 늘었다.

관련기사



수도권의 확진자 폭증은 시민들의 느슨해진 방역 태도 탓도 있지만 정부의 대응이 한발씩 늦었던 영향도 크다. 전문가들은 “이미 한 달 전에 확진자 급증세가 시작됐는데 이제 와서 거리 두기 단계를 격상하는 게 실효성이 있을지 의문”이라며 “다음 주에는 하루 확진자 수가 1,000명 넘게 나올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했다.

이날 문재인 대통령은 “공무원·군·경찰 등의 가용 인력을 최대한 투입해 수도권의 역학조사 역량을 강화하라”며 “선별 진료소의 야간 및 휴일 운영을 대폭 확대하고 신속 항원 검사 활용을 적극 추진하라”고 지시했지만 이마저도 뒤늦은 대책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이미 감염경로를 알 수 없는 확진자와 무증상 감염자가 전국 곳곳에 퍼져 있기 때문이다. 의료계의 한 관계자는 “역학조사 강화 같은 대책이 일주일이라도 일찍 나왔으면 상황이 달라질 수 있었을 것”이라며 “최근 정부의 대응책이 한 박자씩 늦어 안타깝다”고 말했다.

서지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