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신재생에너지 보조설비 구축에만 326兆 필요"

[급발진 탄소중립]

■'2050 탄소 중립' 실현하려면

"서울 면적의 7배 태양광 덮어야"

에너지경제硏 '감당 의문' 지적

정부가 오는 2050년까지 에너지 주공급원을 화석연료에서 신재생으로 전환한다는 방침을 공식화했지만 이를 뒷받침하려면 천문학적인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연구 기관과 학계에서는 기상 및 환경에 따라 출력이 들쭉날쭉한 재생에너지의 변동성을 보완하려면 최대 326조 원 규모의 보조 설비를 구축해야 할 것으로 예측했다.


7일 관계 부처와 에너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2050년 탄소 중립 목표를 달성하려면 탄소 배출 전원인 석탄 발전과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소 가동을 사실상 중단해야 한다. 탈원전 정책으로 원자력발전소 가동이 줄어드는 것을 감안하면 2050년 기준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전체의 80% 수준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기사



문제는 날씨에 따라 출력 차이가 큰 재생에너지의 변동 폭을 최소화하기 위해 보조 설비를 대폭 늘려야 한다는 점이다. 에경연은 2050년 기준 필요한 에너지저장장치(ESS) 용량이 339GWh에 달할 것으로 보고 이를 구축하는 데 약 167조 원이 필요하다고 추산했다. 가스터빈의 확대 설치도 필요해 여기에 별도로 7조 원가량이 들 것으로 예상됐다.

국토 전반에 재생에너지 발전 단지를 조성하는 만큼 계통을 보강하는 데도 막대한 비용이 들 것으로 보인다. 에경연은 송배전로와 변전소 등을 새로 설치하는 데 109조 2,000억 원이 투입돼야 할 것으로 예상했다. 백업 설비와 계통 보강 등에 총 325조 8,000억 원이 필요한 셈이다. 에경연 관계자는 “장기적으로 재생에너지 발전 단가는 화석연료 발전 단가와 비슷해져 발전 비용 자체는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라면서도 “관련 설비를 구축하는 데 필요한 엄청난 투자비를 어떻게 감당할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재생에너지 발전소를 지을 부지를 확보하는 것도 만만치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에경연은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80% 수준으로 올리려면 발전설비 규모를 335GW까지 확대해야 한다고 내다봤다. 이만한 발전설비를 풍력보다 상대적으로 주민 수용성이 높은 태양광 발전으로 조성한다고 가정할 경우에도 서울시 면적의 7배 가까이가 필요해 사실상 불가능하다. 특히 활용 가능한 부지 자체가 적어 휴경지 등 주민 반발이 적은 땅들을 끌어모은다고 해도 최대 설비 규모는 155GW 수준에 머물 것으로 예상됐다.
/세종=김우보기자 ubo@sedaily.com

김우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