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해수부, 어촌뉴딜 300사업 신규대상지 60곳 선정

여수 유촌항 통영 마동항 장흥 수문항 등

3년 동안 6,000억원 투입해 어촌 활성화

어촌뉴딜 300사업 위치도 / 사진제공=해수부어촌뉴딜 300사업 위치도 / 사진제공=해수부



해양수산부가 어촌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추진하고 있는 어촌뉴딜 300사업의 신규대상지 60곳을 선정했다. 선정된 항만을 중심으로 노후 시설을 현대화하고 지역특산물 판매장을 설치하는 등 어촌 살리기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해수부는 ‘2021년도 어촌뉴딜 300사업 신규대상지’ 60개소를 선정했다고 9일 밝혔다. 해수부는 2022년까지 300곳을 정해 2024년까지 3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현재 2019년에 선정한 70곳, 올해 선정한 120곳에서 사업이 진행 중이다.

이번에 선정된 곳은 전남 19개소, 경남 11개소, 충남 6개소, 경북 5개소, 전북 5개소, 강원 4개소, 제주 3개소, 인천 3개소, 부산 2개소, 경기 1개소, 울산 1개소 등이 선정됐다. 사업비는3년 동안 6,000억원으로 1곳당 평균 100억원이 투입된다.


내년 추진할 사업은 ‘지역밀착형 생활 사회간접자본(SOC) 공급’, ‘지역자원을 활용한 어촌특화개발’, ‘지역재생을 통한 어촌마을 살리기’ 등으로 구분된다.

관련기사



먼저 지역밀착형 생활 SOC 공급의 대표적 사례로는 전남 여수 유촌항이 꼽힌다. 거문대교가 완공되면서 관광객이 급격히 늘었는데 선착장이나 대합실이 노후해 붕괴위험이 우려된다는 지역 의견이 제기된 것이다. 해수부는 선착장 보강, 대합실 확충, 안전시설 설치 등을 추진해 열악한 해상교통 편의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지역자원을 활용한 어촌특화개발 사례로는 경남 통영시 마동항이 있다. 연간 10만명이 넘는 낚시객들이 찾아오는데 정작 마을 주민이나 어업인 소득으로 연계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 곳이다. 해수부는 지역주민이 중심인 마을기업을 통해 지역특산물 판매장, 갯벌 체험 등 주민 참여형 소득사업을 추진해 어촌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기로 했다.

전남 장흥군 수문항은 지역재생 사례로 꼽혔다. 풍부한 키조개 수산자원을 보유하고 있지만 브랜드 인지도가 낮고 노인층이 대부분이 자원을 잘 활용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해수부는 인구 감소와 노령화 등으로 침체된 어촌에 창업플랫폼과 함께 귀어인 유입 촉진을 위한 기반시설을 확충해 어촌 재생기반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문성혁 해수부 장관은 “내년 3년 차에 접어드는 어촌뉴딜 300사업에 대한 어촌지역 주민들의 관심과 참여가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며 “성공적인 어촌어항 재생기반을 구축해 어촌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조지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