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부산시민사회단체 “한진중공업 매각 조선업 유지 우선"…"투기세력 매각 안 된다"

부산 최대 조선소 존속 불투명 상황에 직면

부산경실련·경제살리기시민연대 대책 마련 촉구

“입찰 조건에 조선업 경쟁력 제고·지역경제 살리기 방안 담겨야”

부산 최대 조선소인 한진중공업 영도조선소 매각 입찰과 관련해 시민사회단체들이 존치와 고용 유지 등을 촉구했다.

부산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9일 한진중공업 매각에 따른 입장문을 내고 “우리가 한진중공업 영도조선소 매각에 주목하는 이유는 조선업과 그로 파생된 인력의 고용유지와 지역 경제를 살리기 위한 것”이라며 “한진중공업 매각은 조선업 지속 가능성, 고용유지가 우선시 해야 한다”고 밝혔다.


경실련은 “지난 10월26일 예비입찰에는 산업은행 자회사를 비롯해 사모펀드, 신탁사, 해운사 등 7개 업체가 참여했는데 조선업과 직접 관련이 있는 업체는 없다”며 “주로 투자회사들이 참여했고 결국 부산 최대 조선소는 존속이 불투명한 상황에 직면하게 됐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경실련은 이곳이 상업지로 용도 변경되면 대규모 개발이익 생기기 때문에 조선업 회사 매각에 투자회사들이 몰리는 것으로 봤다. 경실련은 “이들은 조선업을 제대로 살려보려는 목적이 아니”라며 “예비입찰에 참여한 업체들은 한진중공업의 가치보다 영도조선소 부지의 상업적 개발이익에 관심이 더 많은 것으로 밖에 볼 수 없다”고 말했다.

특히 “정부와 부산시는 하루빨리 이에 대한 대책과 방침을 세워야 하고 산업은행 역시 국책은행으로서 지역의 기간산업을 이끌어 온 기업의 매각에 대해 책임감 있는 태도를 보여야 한다”며 “한진중공업 매각 입찰조건으로 고용 안정성 확보, 조선업의 산업경쟁력 제고, 지역경제 살리기 방안 등이 담겨야 할 것”이라 강조했다.

이날 성명을 발표한 부산경제살리기시민연대도 “한진중공업 영도조선소 매각에 사모펀드 등 투기 자본을 강력히 규제하고 경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산업은행은 매각 대상을 결정할 때 국책은행으로서 국가 기간산업의 한 축인 조선업 회복과 지역 경제에 미칠 악영향을 고려해야 한다”며 “투자금 회수라는 자본논리에만 매몰돼 사모펀드와 같은 투기적 세력에게 매각되면 조선업 유지 의무기간인 3년 후 해당 부지가 다른 용도로 전환돼 조선소가 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