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방역당국 "아스트라제네카, 국내 생산...美 행정명령 영향 덜할 것"

美 자국인 우선 접종 방침...정부 "우려 없게 사실관계 확인 먼저"

아스트라제네카가 개발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아스트라제네카가 개발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정부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국민에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우선 접종하도록 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한 것과 관련해 아스트라제네카의 백신은 상대적으로 영향을 덜 받을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10일 코로나19 상황 백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에 “아스트라제네카의 백신은 국내에서 생산하는 백신이기에 미국의 행정명령 발동과 관련해서는 조금 영향을 덜 받을 수도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아스트라제네카를 비롯해 얀센, 모더나, 화이자 등 글로벌 제약사 4곳으로부터 약 3,400만명분(6,400만회 도즈·도즈는 1회 접종량)의 백신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 가운데 아스트라제네카와는 이미 1,000만명분의 백신 선구매 계약을 체결한 상태다. 외신 보도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8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주재한 ‘백신 최고회의’에서 “미국인들이 미국 백신을 접종할 우선권을 갖도록 보장하겠다”며 관련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백신 제조사들이 미국 이외에 다른 여러 국가와도 백신 공급 계약을 한 상황인 만큼 미국의 행정명령이 어떤 식으로 시행될지는 불분명한 상황이다. 윤 반장은 “미국을 제외한 나머지 국가는 (백신 물량을) 생산하더라도 미국으로 다 보내 미국민에게 접종해야 한다는 것인지, 그런 부분에 대한 확인이 조금 필요하다”면서 “조금 더 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아스트라제네카 생산 백신에 대한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이 늦어질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다. 이에 대해 윤 반장은 “FDA의 승인이 공식적으로 연기되는 것인지, 우려가 있는 수준인지 등 사실관계 파악이 아직 안 되고 있다”면서 “대응 방안을 이야기하기에는 이른 시기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그는 이어 “승인이 늦어질 가능성이 왜 커지는 것인지 등 일부 우려에 근거해 대응 방안을 논하기보다는 사실관계 확인이 우선 필요하다”면서 “(각 국에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에 대한 구매가 가장 많은 만큼 그런 부분이 FDA 승인 과정에서 고려될 것 같다”고 추정했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연합뉴스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연합뉴스


그는 국내 백신 도입 일정에도 차질이 발생하는 것 아니냐는 질의에는 “심각한 부작용이 없다면 부작용과 함께 접종함으로써 나타나는 편익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FDA의 승인 여부 결정이) 될 것 같다”며 “승인이 날지, 말지 지금 판단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윤 반장은 FDA 승인 여부와 관련 없이 우리 정부 자체적으로 사용 승인을 내릴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질병관리청이나 식품의약품안전처 등에서 더 정확한 정보를 갖고 있을 것”이라면서 말을 아꼈다.

/지웅배 인턴기자 sedation@sedaily.com

지웅배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