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이슈

전 세계 아우르는 ESG 네트워크 만든다. ‘UN SDGs 협회, 유엔 BP로 지정’

- 미국 및 아·태 주요국과 글로벌 ESG 인증 협의

- 빌 앤 멜린다 게이츠재단, 록펠러 재단 등과 함께 UN BP로 등재




이번 7월 UN SDGs 협회가 Tijjani Muhammad-Bande(티자니 무하메드 반데) 유엔 총회의장에게 받은 서신이번 7월 UN SDGs 협회가 Tijjani Muhammad-Bande(티자니 무하메드 반데) 유엔 총회의장에게 받은 서신



유엔 경제사회이사회 특별협의지위기구인 UN SDGs(유엔 지속가능개발목표) 협회가 ESG 네트워크를 위한 유엔 BP(비즈니스 파트너)로 공식 지정됐다. 협회는 지난주 유엔 행정시스템(UMOJA)에 등록되는 BP 고유번호를 받았다고 밝혔다. 유엔 비즈니스 파트너는 외부 신청방식이 아닌 유엔이 선정하는 방식으로, 협회는 지난 7월 BP 선정을 통보받고 등록 과정을 진행해 왔다.



BP 지정은 유엔 사무총장이 발표한 ‘유엔과 기업 공동체 간의 협력에 관한 지침’을 기반으로 진행되며, UN의 핵심가치를 충족하는 기관을 선별해, 실사 및 파트너십 과정을 거쳐 선정된다. 현재 빌앤멜린다게이츠재단, 록펠러 재단, 골드만삭스 재단 등이 주요 BP로 이름을 올리고 있다. 협회는 유엔 BP로 지정됨으로써 아태지역 65개국의 다양한 연례 협의에 참여하고, ESG 글로벌 네트워크 구성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앞서 지난 1월 협회는 세계적인 지속가능보고서 가이드라인 기구 GRI (Global Reporting Initiative)와 함께 UN ESCAP의 SDGs 헬프 데스크(Help Desk) 공식 파트너(네트워크 부문)로 지정됐으며, 동시에 SDG 연구·훈련기구(Research and Training Institute)으로 등재되는 등 글로벌 ESG(Environment 환경·Social·사회·Governance 지배구조) 인증 역할이 크게 확대된 바 있다.


협회는 이번 BP지정을 계기로 글로벌 ESG 평가지수인 SDGBI(UN지속가능개발목표경영지수)와 유엔 우수사례 국제 친환경 기준인 GRP(Guidelines for Reducing Plastic Waste : 기후변화 대응과 플라스틱 저감 지침) 인증을 미국 등 아태지역 주요국 금융기관과 함께 체계화 시킬 예정이다. 또 매년 7월 발표하는 글로벌 지속가능 리더, 기업, 브랜드 100’(Global Sustainable Leaders 100’ & ‘Global Sustainable Brands 100) 리스트도 글로벌 대외 투자기금 등에 제공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UN SDGs 협회 김정훈 사무대표(39)는 그동안 아미나 모하메드(Amina J. Mohammed) 유엔 사무부총장, 데이비드 나바로(David Nabarro) 기후변화 유엔 사무총장 특보(現 세계보건기구 코로나19 특사), 등 유엔 주요 인사들과 차례로 단독 면담하고 UN SDGs(지속가능개발목표) 확산을 논의해왔으며, 지난 7월에는 유엔 최고위급 인사인 티자니 무하마드-반데(Tijjani Muhammad-Bande) 유엔 총회 의장(74차)에게 직접 서신을 받기도 했다.

티자니 의장은 “SDGs 달성을 위해 민간 기업과 모범적 사례를 선보이고 2030 의제 원칙을 구현하는 UN SDGs 협회의 리더십을 높게 평가하며, 글로벌 SDGs 이행 네트워크 구성 및 플라스틱 저감·기후변화대응을 위해 GRP 인증을 시작한 것을 축하한다.”고 서신에서 전했다.

한편 협회는 SDGBI와 GRP인증을 통해 2016년부터 현재까지 약 550곳의 글로벌기업, 1000곳의 국내기업을 지속가능 기업으로 선정·발표해왔으며, 해외에서는 네슬레, 알파벳, 화이자, 테슬라, H&M, 케링그룹, 아디다스, AT&T, 뱅크오브아메리카, 캐스캐이드, 록시땅, HSBC, 인텔, 유니클로, 콜게이트-파몰리브 컴퍼니, GM, 이케아, JP모건체이스, 무디스, 나이키, 넷플릭스, PVH, 구글, UPS, 월트디즈니, 블랙락, 보잉, LVMH, 오스람, 다임러 그룹, 발렌시아가, 골드만삭스, 필리파케이, 막스앤스펜서, COX, 미쉐린, 파타고니아, 패스트리테일링그룹, BMW, 사노피, 스타벅스, 존슨앤존슨, 인디텍스, UBS, 어도비, 베스트바이, 카길, 페이스북, 스텔라 매카트니, 알리바바 그룹, 티파니앤코, 타미힐피거, 비자(VISA), GE, 키엘, 판도라, 휴렛팩커드, 텐센트 홀딩스, 애플, 러시, IBM, 코카콜라,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넷플릭스, 필립스, 모간스탠리, 도요타모터스, 인포시스, 버거킹, KDDI, 스페이스X, UPS, 보잉, 포드 모터스, BNP파리바, IHI, 브로드컴, BMW, 포드, ENEL, PACIFIC ETHANOL, 셔먼 항공, 버크셔 해서웨이, 아비바 등이 리스트에 이름을 올렸다.

또 국내에서는 삼성전자, KT, SK하이닉스, 현대백화점, CJ대한통운, 삼성화재, LG, SK이노베이션, CJ올리브영, 현대홈쇼핑, 한섬, 우아한형제들(배달의 민족), KB증권, 효성, 포스코, 농심, SK증권, 코웨이, 현대리바트, SK종합화학, 한국전력, 삼성생명, 하나카드, 애경, 에버다임, CJ올리브영, CJ제일제당, 한솥, 롯데케미칼, CJ ENM, 한섬, KT&G, KB금융지주, 흥국자산운용, SK이노베이션, 롯데건설, 현대모비스, HMM, KB국민카드, 한샘, GS홈쇼핑, 롯데케미칼, 대상, 네이버, 한국수자원공사, 한국동서발전, 부강테크, 롯데카드, 신한카드, 미래에셋대우, KB손해보험, 하이트진로, NH농협금융, 롯데미래전략연구소, 한국공항공사, 우리금융지주, SK E&S, 코리아세븐, 삼성SDS, CU, 대한항공, 삼성물산, 삼성카드, 한독, OB맥주, 한국투자증권, 한화생명, 하나금융투자, 에쓰오일, 현대커머셜, 김앤장법률사무소, 빅히트엔터테인먼트, 우리카드, 대림산업, 넥슨, 이마트, 신세계, 효성티앤씨, 현대제철, 만도, 톤28 등을 각 분야 ESG 우수기업, 친환경 인증기업으로 선정했다.


/김동호 기자 dongho@sedaily.com

김동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