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포스코 "2050년 수소 매출 30조·500만톤 생산"

'그린수소 선도기업' 비전 발표

생산·운송·저장 등 대규모 투자

최정우 "수소 생태계 완성 기여"

최정우 포스코 회장. /사진 제공=포스코최정우 포스코 회장. /사진 제공=포스코



포스코가 오는 2050년까지 수소 생산 500만 톤 체제를 구축해 수소 사업에서 매출 30조 원을 달성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포스코는 이 같은 내용을 지난 11일 이사회에 보고하고 ‘수소경제를 견인하는 그린수소 선도기업’ 비전에 담아 13일 발표했다. 포스코는 2030년까지 수전해(물을 전기분해해 수소를 생산하는 것)와 수소 추출 등의 핵심 기술 및 생산 역량을 조기에 갖출 방침이다. 수소 사업을 이차전지 소재와 더불어 그룹 성장의 양대 축으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포스코는 내년 1월 사업부를 출범하고 포항산업과학연구원을 중심으로 국내외 연구기관과 연구 개발(R&D) 협력을 추진한다. 최정우(사진) 포스코 회장은 “미래 청정에너지의 핵심인 수소를 주도적으로 생산, 공급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포스코는 철강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생가스와 천연가스(LNG)를 이용한 연간 7,000톤의 수소 생산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약 3,500톤의 부생수소를 추출해 철강 생산 중 온도 조절과 산화 방지 등을 위해 사용하고 있다.


향후 포스코는 수소를 활용한 철강 생산 기술인 ‘수소환원제철공법’ 연구와 수소를 ‘생산·운송·저장·활용’ 하는 데 필요한 강재 개발, 부생수소 생산 설비 증대, 수소 생산 핵심 기술 개발 등의 역량 강화는 물론 ‘그린수소’ 유통 및 인프라 구축, ‘그린수소’ 프로젝트 참여 등 다양한 사업 기회를 모색하며 대규모 투자를 추진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이를 통해 2025년까지 부생수소 생산 능력을 7만 톤으로 늘리고 2030년까지 글로벌 기업과 손잡고 ‘블루수소’를 50만 톤까지 생산한다는 계획이다. 블루수소는 천연가스 등 화석연료를 이용해 생산한 수소다. 동시에 포스코는 2040년까지 생산과정에서 오염 물질을 배출하지 않는 ‘그린수소’ 200만 톤 생산 체제를 구축해 2050년까지 수소 500만 톤 생산 체제를 완성할 방침이다.

그린수소 가치 사슬 마련을 위해 그룹사 역량도 총동원한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해외 네트워크를 활용해 정부의 수소 도입 사업과 해외 수소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포스코에너지는 수소 전용 터미널을 구축하고 현재의 LNG터빈 발전을 수소터빈 발전으로 전환한다. 포스코건설은 수소 도시 개발 프로젝트는 물론 수소 저장과 이송에 필요한 프로젝트 시공을 담당하게 된다.



한동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