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조달청, 혁신제품 구매확대 등 경제회복 지원 박차 가한다

재정조기집행, 혁신조달 활성화, 디지털·비대면 확대 등 내년 정책방향 제시

김정우 조달청장김정우 조달청장



조달청은 17일 정부합동으로 발표한 2021년 경제정책방향에 부응하고 우리경제의 빠른 회복을 지원하기 위해 조달 계약 체계 완화, 혁신조달 활성화 등 적극적인 조달정책을 마련해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우선 상반기중 63% 집행계획을 세운 정부의 재정조기 집행방침에 따라 원가검토, 입찰공고, 심사·계약 및 대금지급 등 조달 전(全)단계의 절차를 완화해 신속계약체계를 운영하기로 했다.


또한 기술혁신과 경제활력을 위한 혁신조달 활성화에도 적극 나선다.조달청 혁신제품 구매예산을 전년 293억원 대비 52% 증가한 445억원으로 대폭 확대하고 혁신제품 지정을 800개 이상으로 늘릴 계획이다.

혁신제품 수요발굴에 국민, 민간기업도 참여를 허용하고 아이디어 차원의 혁신수요를 실행 가능한 수준으로 구체화하는 ‘인큐베이팅’ 제도도 새롭게 도입하는 등 혁신조달을 통해 국민이 피부로 느낄 수 있는 공공서비스 개선 성과 창출에도 노력할 계획이다.

아울러차세대 나라장터 구축 사업도 본격 추진해 빅데이터 등 최신 디지털 신기술을 적용하고 조달절차를 전면 재설계함으로써 디지털·비대면 시대를 선도하는 미래형 전자조달시스템으로 업그레이드할 예정이다.


동시에 중복·비효율 등의 지적을 받고 있는 발주기관의 자체 조달시스템(26개)을 단계적으로 통합해 나갈 예정이다.

관련기사



클라우드·SW 등 디지털서비스 조달상품 개발을 확대하고 공공거래 활성화를 위해 ‘디지털서비스 전용몰’을 전면 개편하는 등 디지털서비스 분야 신산업 성장을 적극 지원한다.

이와 함께 공공조달을 활용해 보건·복지·사회 등 정부정책이 효과적으로 추진되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마스크 1억5,000만장을 비축해 코로나 대유행 등 위기 시 적기 공급을 통해 정부방역을 뒷받침하고 정부의 사회적경제 육성·활성화 정책을 지원하기 위해 사회적기업, 사회적협동조합 등에 대한 입찰 우대를 강화할 계획이다.

김정우 조달청장은 “최근 정부혁신과 산업지원을 위한 핵심적인 정책수단으로서 공공조달의 역할이 부각되고 있다”며 “정부의 내년도 경제정책방향에 부응해 코로나19 위기를 극복하고 우리경제의 확실한 경제반등을 이루는 데 공공조달의 역량을 집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대전=박희윤기자 hypark@sedaily.com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