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울산시, 부동산 의심 거래 639건 국세청 통보 및 수사 의뢰

구·군 정밀조사에서 1만313건 중 639건 의심

울산시 “부동산 투기 억제를 위해 강력한 조치 취할 것”

울산대공원에서 바라 본 울산시 모습. /사진제공=울산시울산대공원에서 바라 본 울산시 모습. /사진제공=울산시



울산시는 지난 10월과 11월 2달 동안 거래된 구·군 부동산 실거래건에 대한 정밀조사 결과, 전체 1만313건 중 의심 거래 건수 639건을 찾아 국세청에 통보하고 수사를 의뢰했다고 18일 밝혔다.

자금 편법 증여가 의심되는 미성년자 거래 4건, 현금거래 3건, 법인자금 유용 등 탈세의심의 법인간 거래 126건, 기타 기존 거래와 가격 변동이 큰 의심 거래 13건, 가격담합이 의심되는 신고취소 493건 등이다. 구·군별로 보면 중구 150건, 남구 306건, 북구 36건, 동구 89건, 울주군 58건으로 조사됐다.

특히 같은 기간에 울산에서 가장 노른자인 남구의 경우 외지인 거래가 952건으로 전체 실거래건수 2,921건의 33%를 차지했다. 다음으론 중구가 전체 건수 3,576건 중 444건으로 12.4% 순이었다.


동구의 경우 최근 분양권 전매 제한에서 해제된 모 아파트 경우 해제된 날인 12월 2일부터 13일까지에 해당 아파트 분양권 실거래 신고 건수가 467건으로 대부분이 프리미엄이 없거나 있어도 1,000여만원 정도로 신고한 것으로 드러났다. 현재 시장에선 1억5,000여만원 내외로 거래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분양권 프리미엄 양도세가 55%로 그 양도소득세를 매수인이 대납하는 불법 방식이라 결국 대부분이 분양권 거래금액을 낮춘 일명 다운 금액으로 신고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전체 거래건수 중 337건, 약 72%가 외지인이 거래한 것으로 조사됐다.

관련기사



울산시는 분양권 거래를 신고한 주위 부동산중개업소에 대해 고강도 방문 조사할 예정이다. 이들 부동산중개업소들은 한 업소에서 10여건 이상 분양권 매물들을 신고하고 있어 사실상 이미 매물을 확보해 놓고 실거래신고는 전매 제한 이후로 하는 불법전매일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아파트 분양 시 분양사무소 앞에서 물건들을 모아 미리 프리미엄에 매매 계약을 하고 계약금 등을 대납한 후 전매제한 기간이 해제되면 신고만 하는 것으로 전매제한 해제 직후인 12월 2일~ 7일까지 6일 동안 분양권 거래신고를 10건 이상 신고한 중개업소는 6곳이며 무려 30여건 이상 신고한 중개업소도 있었다.

울산시는 모두 세금탈루 의심 중개업소들이라 국세청에 통보할 예정이며 울산경찰청에 수사 협조도 의뢰해 놓은 상태다.

이 같은 위반행위 시 계약을 체결하지 않고 거짓으로 신고하는 행위는 3,000만원의 과태료, 실제 거래가격을 거짓으로 신고한 경우는 실제 거래가격의 차액에 따라 취득가액의 2~5% 과태료, 집값담합 등의 행위에 대해서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도록 하고 있다. 개업공인중개사는 탈세 목적 및 전매 등 부동산 투기 조장 행위가 밝혀지면 자격정지의 행정처분을 받게 된다.

김동훈 도시창조국장은 “외지인 투기세력뿐만 아니라 이에 편승한 지역 투기세력까지도 철저히 가려내 국세청 세금탈루 조사와 수사를 의뢰하는 등 부동산 투기 억제를 위해 강력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말했다.


울산=장지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