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교수들이 올해의 사자성어로 뽑은 '아시타비'...이유는?

정치권 및 秋-尹 극한갈등 영향

2위는 후안무치, 3위는 첩첩산중

교수신문이 2020년의 사자성어로 선정한 ‘아시타비’./교수신문 제공교수신문이 2020년의 사자성어로 선정한 ‘아시타비’./교수신문 제공



교수들은 올해의 사자성어로 ‘아시타비’(我是他非)를 선정했다.

아시타비는 나는 옳고 상대는 틀렸다는 뜻으로 ‘내로남불(내가 하면 로맨스 남이 하면 불륜)’을 뜻한다. 이는 진보와 보수 간 극한대립과 추미애 법무부 장관과 윤석열 검찰총장의 극한 대치 등 사회 각계각층에서 갈등이 심화한 상황을 지칭한 것으로 풀이된다.


교수신문은 교수 906명이 투표한 결과 아시타비가 가장 많은 표(588표·32.4%·복수응답)를 얻었다고 20일 밝혔다.



아시타비를 추천한 정태연 중앙대 심리학과 교수는 “모든 잘못을 남 탓으로 돌리고 서로를 상스럽게 비난하고 헐뜯는 소모적 싸움만 무성할 뿐 협업해서 건설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은 보이지 않는다”고 했다.

최재목 영남대 철학과 교수도 “여야, 진보와 보수, 법무부장관과 검찰총장 사이는 물론 코로나19 바이러스 발생을 두고서도 사회 도처에서 ‘내로남불 사태’가 불거졌다”며 추천 이유를 밝혔다.

아시타비에 뒤를 이어 꼽힌 사자성어는 ‘후안무치(厚顔無恥)’(396표·21.8%)였다. ‘첩첩산중(疊疊山中)’과 ‘천학지어’는 각각 231표(12.7%), 148표(8.1%)를 얻어 뒤를 이었다. 천학지어는 ‘말라가는 샘에서 물고기들이 서로를 돕는다’는 뜻인데 교수신문은 두 사자성어가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을 빗댄 것이라고 분석했다.


박우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