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매장 뒤 물류공간 키우니…온라인 배송 역량 '쑥쑥'

온라인 장보기 폭발적 성장에

이마트 PP센터 확장한 신세계

하루 최대 처리물량 20% 껑충

롯데는 배송거점 5배 늘리기로

홈플러스, 내년 FC 대폭 확대

서울 이마트 청계천점 P.P센터에서 장보기 전문사원이 온라인 주문 상품을 옮기고 있다. /박민주기자서울 이마트 청계천점 P.P센터에서 장보기 전문사원이 온라인 주문 상품을 옮기고 있다. /박민주기자


# 지난 11일 대규모 리뉴얼 후 재개장한 서울 이마트(139480) 신도림점에는 고객이 볼 수 없는 비밀 공간이 있다. 바로 온라인 주문 배송을 처리하는 후방 공간인 P.P(Picking&Packing) 센터. 이곳에서는 일명 장보기 전문사원으로 불리는 ‘피커’가 온라인으로 주문받은 상품을 선별해 포장, 배송까지 진행한다. 신세계(004170)그룹은 올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온라인 장보기 수요가 급증하자 배송 역량을 키우기 위해 이마트 매장의 비식품 재고를 줄인 공간 일부를 P.P 센터로 확장하고 업그레이드하고 있다. 이번 리뉴얼을 통해 신도림점의 P.P 센터는 공간이 14배나 커지면서 하루 최대 처리 물량이 기존 200건에서 2,500건으로 크게 확대됐다.

서울 이마트 청계천점 P.P센터에서 장보기 전문사원이 온라인 주문 상품을 옮기고 있다.  /박민주기자서울 이마트 청계천점 P.P센터에서 장보기 전문사원이 온라인 주문 상품을 옮기고 있다. /박민주기자


유통가가 오프라인 매장을 온라인 배송을 위한 전진 기지로 활용하는 작업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폐기율이 높고 빠른 배송을 요구하는 식품의 온라인 시장 확대가 두드러지고 있는 만큼, 도심 곳곳에 위치한 점포를 거점 물류망으로 활용해 당일 배송 능력을 키운다는 전략이다.

20일 신세계그룹의 통합 온라인몰 SSG닷컴에 따르면 전국 110여개 이마트 P.P 센터의 하루 최대 처리 물량은 올해 초 5만건에서 이달 6만건으로 20% 증가했다. 이마트 P.P 센터는 SSG닷컴으로 들어온 온라인 주문의 당일배송을 주로 담당한다. 새벽배송을 주로 처리하는 온라인 물류센터 ‘네오’까지 합하면 SSG닷컴의 처리 물량은 하루 최대 14만건에 육박한다.


SSG닷컴은 올해 들어 온라인 장보기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자 이마트 P.P 센터를 확장하고 디지털 시스템을 도입해 물류 처리 능력을 향상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리뉴얼한 월계점과 신도림점은 P.P 센터의 면적을 넓히고 DPS(Digital Picking System)를 도입했다. DPS는 이동하는 바구니에 각 구역의 직원들이 주문된 제품을 담는 방식의 피킹 시스템으로 더욱 빠르게 작업할 수 있게 도와준다. 앞서 2월 청계천점에는 지하 1층을 통째로 P.P 센터로 리뉴얼해 최첨단 물류센터인 네오와 동일한 시스템을 구축하기도 했다.

관련기사



이처럼 마트 P.P 센터를 강화하는 이유는 폭증하는 온라인 주문에 대응하기 위해서다. 올해 온라인 식품 시장 규모는 지난해 대비 53% 성장한 26조원에 이를 전망이다. 내년에는 33조원 규모까지 커질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이에 업계는 온라인 물류센터 확보와 동시에 점포 물류기지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롯데마트는 점포를 배송 거점화한 ‘세미다크 스토어’를 내년까지 29개로 확대해 온라인 주문 처리량을 현재보다 5배 이상 늘린다는 계획이다. 세미다크 스토어는 배송 전 단계인 팩킹에 주안점을 두고 매장 영업과 동시에 후방에 핵심 자동화 설비를 구축한 형태를 말한다. 홈플러스는 이미 107개 점포에서 수행 중인 온라인 물류 기능을 내년까지 전국 140개 전 점포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이렇게 되면 일평균 배송 건수는 기존 3만3,000건에서 12만건으로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또 홈플러스는 물류 기능과 규모를 보다 업그레이드한 ‘점포 풀필먼트센터(FC)’도 내년까지 10개 점포에 구축할 계획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미국 월마트처럼 오프라인 점포를 활용한 ‘옴니 채널’을 강화하기 위해 유통가가 온·오프라인 시너지에 속도를 내고 있다”면서 “다만 온라인 물류센터와 달리 마트 P.P센터는 점포의 영업시간에 따라 24시간 가동할 수 없고 의무휴업 날에는 작동을 못 하는 규제의 한계가 있어 극복할 과제가 많다”고 전했다.


박민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