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러 해킹에 칼 빼든 바이든…'재정 불익·보복 해킹' 경고

클레인 차기 백악관 비서실장

'제재 이상의 조치' 강력 시사

트럼프 "해킹 과장돼" 발언엔

공화·민주 모두서 잇단 성토

바이든 대통령 당선인. /AP연합뉴스바이든 대통령 당선인. /AP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미국 정부에 대한 대규모 해킹 피해와 관련해 러시아 제재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론 클레인 차기 백악관 비서실장 지명자는 20일(현지 시간) CBS 방송에 출현해 “미 정부의 전산망에 침투한 것으로 추정되는 러시아 해커들에 대해 반격할 방안을 들여다보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것은 제재만이 아니다”라며 “이런 공격에 가담하는 외국 세력의 능력을 낮추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조치와 일들”이라고 강조했다. 로이터통신은 바이든 정부가 러시아 인프라에 대한 재정적 불이익과 보복 해킹 방안 등을 선택지에 올려두고 있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이런 가운데 공화당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러시아를 대하는 태도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해킹 사건이 과장 보도됐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평소에도 트럼프 대통령과 사이가 좋지 않은 밋 롬니 공화당 상원의원은 “(트럼프 대통령이) 러시아에 관한 한 맹점을 갖고 있다”며 “사이버 공간에 대한 우리의 군사 및 국가 안보 준비 태세를 정말 재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러시아에 대해 미국의 피해와 같은 규모나 그 이상으로 강력히 대응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러시아가 미국의 전기와 물·통신을 무력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가졌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민주당 소속인 애덤 시프 하원 정보위원장도 날을 세웠다. 그는 이날 MSNBC에 출연해 “해킹 배후에 러시아가 있다는 점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했다. 시프 위원장은 “그것은 파괴적이고 기만적이며 국가 안보에 해를 끼친다”며 “러시아의 위협을 경시하고 중국을 지목하려는 트럼프 대통령의 시도는 안보에 위협이 된다”고 비판했다. 상원 정보위 민주당 간사인 마크 워너 의원도 “이런 행동(해킹)을 하면 (미국이) 반격할 것이라는 점을 적들에게 분명히 해둘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민주당 내 강경 분위기를 고려하면 새 정부가 들어선 뒤 상당 규모의 대러시아 제재가 취해질 가능성이 높다. 보안 업체 파이어아이의 케빈 맨디아 최고경영자(CEO)에 따르면 이번 해킹으로 약 50개 기관이 피해를 당했다.
/뉴욕=김영필특파원 susopa@sedaily.com

김영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