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합당하라" "어차피 없어질 당" 2년 전 실패한 서울시장 야권단일화…될까?

안철수, 대권 놓고 서울시장 출마

‘결자해지’ 후보 양보 가능성 0%

국민의힘은 당대당 경선 요구해

당원 투표 20%, 安 후보 불가능

2018년 김문수-안철수 데자뷔

단일화 불발-헐뜯다 선거 패배

중도·보수진영 나서 대타협해야

“합당을 전제로 단일화하자” vs “제가 유일한 야권 후보”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20일 내년 4월 서울시장 보궐선거 출마를 선언하면서 ‘후보 단일화’를 위한 야권의 셈법도 복잡해지고 있다. 103석의 국민의힘은 3석인 국민의당에 입당 또는 합당을 통한 경선을 주장하고 있고 안 대표는 이에 응하지 않고 100% 여론조사를 통해 야권통합후보를 결정하는 방식을 요구할 가능성이 크다. 서로 “내가 나서겠다”고 싸우다 여권에 선거를 내주는 2018년 상황이 반복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안철수 대권 접고 ‘결자해지’, 양보 불가능해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연합뉴스안철수 국민의당 대표./연합뉴스



야권단일화는 가시밭길이 예상된다. 안 대표가 내년 4월 서울시장 선거에서 국민의힘에 후보를 양보할 확률이 거의 0%에 가깝기 때문이다. 안 대표는 서울시장 출마를 선언하며 세 가지를 강조했다. ‘결자해지’와 ‘대권 승리’, 이를 위한 ‘대권 포기’다.

야권 대권주자 1, 2위를 다투는 안 대표는 최근까지 대권 직행을 강조해왔다. 하지만 야권 원로들이 “서울시장 선거에서 지면 대권에서 승리할 가능성은 없다”는 조언을 하면서 안 대표는 사실상 대권을 포기하고 서울시장 선거에 출마해 정권 교체의 교두보가 되겠다고 선언한 것이다. 체급을 낮춰 나간 서울시장 선거에서마저 지면 정치생명을 장담할 수 없다. 안 대표로선 정치생명을 건 결단이다.


그러면서 9년 전 박원순 전 시장에게 후보직을 양보한 본인의 과오가 문재인정부의 탄생의 시발점인 점을 강조하며 ‘결자해지’를 내세웠다. 안 대표 외에 결자해지를 말할 수 있는 야권의 인물은 무상급식에 반대하며 스스로 서울시장직에서 물러난 오세훈 전 서울시장 정도다. 하지만 오 전 시장은 여전히 대권에 도전할 의사를 밝히고 있다. 이 때문에 야권에서 서울시장 선거에 뛰어든 인물 가운데 안 대표보다 명분이 앞서는 후보가 없다는 게 중론이다.



103석 국민의힘, 安에 양보 요구 땐 단일화 ‘불발’


국민의힘 공천관리위원장을 맡은 정진석 의원./연합뉴스국민의힘 공천관리위원장을 맡은 정진석 의원./연합뉴스


문제는 국민의힘이 안 대표를 추대할 수 없다는 점이다. 나경원, 이혜훈, 김선동, 이종구 전 의원에 이어 조은희 서초구청장 등 당내 인사들이 줄줄이 출마선언을 한 상황이다. 안 대표와 단일화를 섣불리 거론했다간 당내 불만이 터질 수 있다. 이에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안 대표의 출마 선언에 대해 “크게 반응할 것이 없다”는 입장을 보였다. 국민의힘 공천관리위원장을 맡은 정진석 의원은 안 대표에게 “자기중심적인 사고를 버리고 대의를 좇아야 한다”고 말했다. 안 대표가 국민의힘과 사실상 합당을 통해 경선에 참여하라는 의미다. 하지만 이 같은 요구는 안 대표에게 사실상 국민의힘에 야권 단일후보를 양보하라는 뜻으로 읽힐 수도 있다. 국민의힘 재·보궐선거 경선준비위원회는 경선룰을 △예비경선 100% 국민여론조사 본경선, 국민여론조사 80%-책임당원 20% 등으로 정했다. 안 대표가 예비경선에서 이겨도 당원 20%가 참여하는 본경선에서 승리하기는 어려운 구조다.

더욱이 103석의 국민의힘 내부에서 3석의 국민의당과 각각 후보를 내고 다시 야권단일화 경선을 하면 반발이 나올 수 있다. 제1야당의 경선 과정이 마치 안 대표와 단일화를 위한 과정으로 치부될 수 있어서다.

“합당하라 vs 양보하라” 2018년 선거 재연출되나


김무성(오른쪽) 전 의원(전 새누리당 대표)이 김종인 비대위원장과 지난 10월 8일 오후 서울 마포구에서 ‘더 좋은 세상으로 포럼(마포 포럼)’ 초청 강연에서 만나 악수로 인사하고 있다. 김 위원장은 김종인 위원장은 ‘보수정당, 어떻게 재집권할 것인가’를 주제로 강연했다./연합뉴스김무성(오른쪽) 전 의원(전 새누리당 대표)이 김종인 비대위원장과 지난 10월 8일 오후 서울 마포구에서 ‘더 좋은 세상으로 포럼(마포 포럼)’ 초청 강연에서 만나 악수로 인사하고 있다. 김 위원장은 김종인 위원장은 ‘보수정당, 어떻게 재집권할 것인가’를 주제로 강연했다./연합뉴스


국민의힘과 국민의당이 서로 야권단일후보가 되겠다고 싸우다가 여권에 선거를 내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2018년 6·13 지방선거에서 안 대표는 당시 자유한국당 김문수 후보에 적극적으로 단일화를 제안했다. 안 대표는 그때도 “제가 유일한 야권 후보”라며 “저만이 일대일로 붙어서 이길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김문수 후보의 결단이 필요하다”며 대국민토론회와 여론조사방식을 통한 단일화를 제안했다. 하지만 김 후보는 ‘당 대 당 통합’을 요구했고 결국 단일화는 무산됐다.

점입가경은 단일화가 무산되자 야권은 서로 헐뜯는 구태를 보인 것이다. 김 후보는 “안철수 후보를 찍으면 박원순 후보가 당선된다”며 이른바 ‘안찍박’을 강조했다. 안 대표는 김 후보에 “서울시장에 관심이 없고 선거 이후 정계개편의 잿밥에만 관심이 있다”고 했고 홍준표 당시 자유한국당 대표(현 무소속 의원)에게는 “어차피 문 닫을 정당이라면 야권 단일화에 협력하라”고 지적했다. 결국 선거는 박원순 전 시장이 52.79%를 득표해 김문수(23.34%), 안철수(19.55%) 후보를 가볍게 이기고 당선됐다.

이에 대해 국민의힘 관계자는 “안 대표는 양보하면 정계를 은퇴할 상황이고 국민의힘은 양보하면 사실상 안 대표를 추대하는 꼴이 된다”며 “‘경선룰’ 수정과 같은 당내 문제를 넘어 중도-보수진영이 대통합요구가 있어야 야권단일화의 물꼬를 틀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과정에서 김무성 전 대표가 이끄는 마포포럼 등이 역할을 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구경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