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금융 경제동향

소득보다 빠르게 느는 빚...가계 채무상환능력 악화

[부채 늪에 빠진 대한민국]

차주 5명 중 2명은 상환 부담 커

소득 대비 부채비율도 8.4%P↑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영향으로 소득이 늘지 않은 가운데 가계 부채가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과 같은 저금리 상황이 계속될 것으로 보기 어려운 만큼 채무 상환 능력이 악화될 가능성을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융 안정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전체 차주의 소득 대비 원리금상환비율(DSR)은 지난 3·4분기 35.7%로 2018년 말(39.6%)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문제는 코로나19 장기화로 경기회복이 지연되면서 소득은 제자리걸음인데 가계 부채는 빠른 속도로 상승하고 있다는 것이다. 한은은 가계 부채 증가율이 3·4분기 수준인 7%를 기록하고 소득 증가율이 0.3%에 그칠 경우 DSR은 38.1%까지 치솟을 것으로 예상했다.




DSR 70% 초과 차주 비중이 40%에 달하는 점도 유의해야 한다는 분석이다. 전체 차주 5명 중 2명은 소득에 비해 빚을 갚는 부담이 매우 크다는 의미다. 특히 60대 이상 고연령층에서 DSR이 53.9%로 높게 나타났다. 소득수준별로 살펴봐도 저소득층 DSR이 69.2%로 고소득층(34.6%)이나 중소득층(40.9%)에 비해 높았다.


가계 부채 차주의 소득 대비 부채비율(LTI)은 올해 3·4분기 말 평균 225.9%로 지난해 말보다 8.4%포인트 상승했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60대 이상 차주의 LTI가 250.6%로 가장 높았다. 30대 이하(221.1%)와 40대(229.4%)의 LTI는 각각 14.9%포인트, 9.9%포인트 오르면서 빠른 증가 속도를 보였다.

관련기사



한은은 DSR 수준을 봤을 때 채무 상환 능력이 크게 떨어지지는 않은 것으로 판단했다. 다만 코로나19가 장기화되는 상황을 감안하면 채무 상환 능력이 악화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DSR 하락 요인인 금리 하락이나 대출 만기 장기화 영향이 점차 축소되고 있기 때문이다. 원리금 상환 유예 등으로 부실 위험이 이연되고 연체율이 높은 신용 대출이 가파르게 증가하는 만큼 중장기적으로 가계 부채의 부실 위험이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민좌홍 한은 금융안정국장은 “저금리나 만기 연장과 같은 상황이 앞으로 계속될 것으로 보기 어렵다”며 “상황이 변하면 가계의 빚 상환 능력이 빠르게 악화될 수 있어 미리 가계 부채 위험을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지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