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계층 상승 사다리 막혔다"…저소득층 100명 중 성적 상위권은 3명

사진=이미지투데이사진=이미지투데이



흔히 ‘개천’으로 불리는 저소득 가정에서 학업성취도가 높은 ‘용’이 되는 학생은 100명 중 3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서울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 교육정책연구소 안영은 연구위원이 작성한 ‘서울지역 고등학생의 기초자치구별 학업탄력성 양상 및 특성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 서울 고등학생 1학년 중 학업탄력성을 지닌 학생 비율은 3.53%인 것으로 조사됐다.

학업탄력성은 가구 월평균 소득이 하위 25%이면서도 학업 성취도는 상위 25%에 드는 경우를 말한다. 고등학교 1학년생의 학업탄력성은 2010년 1.92%에서 2014년 3.75%까지 증가했다가 2016년 3.53%로 소폭 감소했다.


특히 사교육의 영향을 많이 받는 과목일수록 학업탄력성 학생 비율이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2016년 기준 과목별 전체 학생 수 대비 학업탄력성 학생 비율은 국어(4.94%), 수학(4.24%), 영어(3.69%) 순이었다. 영어는 조기유학이나 영어유치원 등 사교육 격차가 사회경제적 배경에 의존해 다른 과목보다 학업탄력성이 낮은 것으로 분석된다.

관련기사



서울 내 25개 자치구 중에서는 종로구가 학업탄력성 비율이 7.69%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 3구인 송파구는 4.17%, 강남구는 1.82%로 조사됐고, 서초구는 0%로 나타났다.

학업탄력성을 지닌 학생들은 방과후 학교보다는 사교육을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자치구 25곳을 학업탄력성 학생 비율에 따라 세 그룹으로 나누고 방과후 학교와 사교육 참여율을 봤더니 학업탄력성 학생 비율이 가장 높은 그룹(동대문구, 송파구, 양천구, 종로구)의 방과후 학교 참여 비율이 가장 낮고 사교육 참여 비율은 가장 높았다.

안 연구위원은 “상위권으로 도약·유지해야 하는 학업탄력성 학생들에게 방과후 학교가 큰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된다”며 “방과후 학교의 근본적인 질적 도약과 함께 다양한 수준의 프로그램을 개설해 공교육만으로도 충분히 저소득층 학생 중 상위권 학생들이 배출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창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